산은, 매각작업 공식화… 오는 17일 자문컨설팅 선정
기업가치 11조·인수가 4조 육박, 민영화 향방에 주목
잠재적 인수 유력 후보 포스코 이탈, 시작부터 '난항'

HMM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매각작업에 속도를 올리는 모양새다. 해상운임 추락과 영구채 처리방안 등 여러 리스크를 뚫고 HMM이 적합한 새주인을 만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사진=HMM 제공  
HMM 최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이 매각작업에 속도를 올리는 모양새다. 해상운임 추락과 영구채 처리방안 등 여러 리스크를 뚫고 HMM이 적합한 새주인을 만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사진=HMM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2025년을 목표로 국내 대표 해운기업인 HMM 민영화를 위한 매각을 공식화했다.

하지만 업계 안팎에서는 업황 악화와 경기침체 등으로 매각 작업이 지체될 것으로 전망했다. 인수 유력후보로 분류된 포스코는 최근 HMM 인수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못 박았다. 

이에 새 주인을 찾는 HMM 매각작업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올해 대형 ‘빅딜’로 꼽히는 만큼 여러 후보가 언급됐지만, 경기침체 영향을 받는 해운업 전반의 어려운 상황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4일 정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KDB산업은행(산은)은 HMM 매각 컨설팅 자문사 선정을 위한 제안요청서(RFP)를 발송한 것으로 전해졌다. 산은은 HMM 최대주주로 오는 17일 자문사를 확정할 계획이다. 

지난해 정부가 운을 띄운 매각작업이 공식화된 셈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기업가치만 11조원에 달하는 HMM이 어느 기업에 인수되느냐에 주목하고 있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라는 입지를 갖춘 이 회사의 인수금액만 4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산은과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각각 20.69%, 19.96%의 지분을 보유 중이다. 앞서 포스코와 현대글로비스, 한화 등이 잠재적 인수 후보군으로 거론됐다. 한화는 이미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했고, 포스코는 지난해 실적발표 당시 인수 계획을 전면 부인했다.

연간 실적 경신 행진을 이어온 HMM 인수 매력도는 크지만, 영구채 처리 문제 등이 기업들을 주저하게 만드는 모양새다. 금융권에선 인수자의 경우 지분 매수를 위해 약 4조3902억원이 필요하다고 봤지만, 영구채 합산시 최대 10조원으로 오를 가능성도 있다.

경기침체와 해운업 상황을 고려하면 선뜻 기업들이 나설지 의문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일각에선 정부가 뜸을 들이는 사이 매각 적기를 놓쳤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금융시장 경색으로 인한 인수합병(M&A) 시장 위축과 해상운임 등이 이전과 달리 대폭 떨어지면서다.

인수 가격에 대한 부담이 클 수밖에 없는 상황에 올해 예고된 실적 악화 가능성 등이 최대 걸림돌이다. 몸값 등 여러 문제가 복합적으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와 산은은 연내 HMM 매각을 마무리 짓겠다는 구상이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17일 한 언론과 인터뷰에서 이와 관련 “HMM 경영정상화에 따라 경영권 매각 타당성 검토, 인수 후보군 분석 등을 위한 컨설팅을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경영권 매각은 해운·자본시장 불확실성, 적정한 인수 후보기업 등장 등 다양한 변수를 감안해 유연하게 진행할 것”이라며 “해운·물류산업의 발전 가능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적의 인수자를 찾겠다”고 강조했다.

업계에선 영구채 전환 문제에 대해서 정부가 명확한 답을 내놓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HMM의 원활한 매각을 위해선 영구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를 조기 상환해야만 인수자 측 부담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작부터 각종 리스크와 해상운임 추락이라는 악재를 만났지만, HMM이 지닌 미래가치는 충분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라며 “CB와 BW 문제가 해결되면 매각은 속전속결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