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 871만명…생산연령인구 4명이 노인 1명 부양
15~64세 인구 -34만명…0~14세 유소년 인구도 -17만명
인구 절반 수도권 거주…서울서 빠지고 경기서 늘어

사진=통계청
사진=통계청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한국 인구가 정부수립 이래 처음으로 감소했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인구 부문 집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총인구(11월 1일 기준·등록 센서스 방식)는 5173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9만1000명(-0.2%) 감소했다.

총인구가 감소한 것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듬해인 1949년 센서스 집계가 시작된 이래 72년 만에 처음이다. 인구 성장률은 1960년 3.0%로 정점을 찍은 후 줄곧 하락하면서 1995년부터는 1% 미만으로 떨어졌고,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총조사과장은 "인구 자연 감소가 이어지는 가운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시 귀국했던 내국인 인구가 다시 유출되고, 외국인 인구도 줄어들면서 지난해 총인구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국적별로 보면 내국인 인구가 5008만8000명으로 4만5000명(-0.1%) 감소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외국인 인구(-2.7%)도 2년 연속으로 감소했다.

남성 인구는 2585만명, 여성 인구는 2588만8000명으로 여성이 더 많았다. 여성 100명당 남자의 수를 나타내는 성비는 지난해 99.9로 집계됐다. 특히 20대 성비(111.8)가 가장 높았다.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3694만4000명으로 34만4000명(-0.9%) 줄었다. 

생산연령인구는 2016년 정점을 기록한 후 5년 동안 67만7000명 감소했다. 0~14세 유소년 인구도 1년 사이 16만7000명(-2.7%) 감소한 608만7000명으로 집계됐다. 65세 이상 고령자 인구는 870만7000명으로 1년 만에 41만9000명 증가했다.

사진=통계청
사진=통계청

전체 인구에서 고령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16.8%를 기록했다. 내국인 고령층 가운데 85세 이상 초고령층 비중은 10.1%로 지난해 처음으로 10% 선을 넘어섰다.

지난해 중위연령은 44.5세로 2020년 대비 0.6세 올랐다. 특히 동 지역 중위연령(43.4세)과 면 지역 중위연령(55.7세) 간 격차는 12.3세로 벌어졌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노년인구 비율을 나타내는 노년부양비는 23.6으로 상승했다. 생산연령인구 4.2명이 노인 1명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유소년 인구 100명에 대한 고령인구 비율을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143.0으로 상승했다.  1년 단위 조사가 시작된 2016년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인구 감소에 따른 고령화는 지역 소멸과 함께 나타나는 모습이다. 지난해 수도권 인구는 전년 대비 0.1% 늘었다. 수도권 인구 비율은 2019년 처음으로 50%를 넘은 뒤 지속해서 올라가는 추세로 지난해에도 인구의 50.4%가 수도권에 거주한 것으로 집계됐다.

 

사진=통계청
사진=통계청

 

반면 중부권과 호남권, 영남권 등의 인구는 감소했다. 17개 시도 가운데는 울산(-1.3%) 인구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고, 세종(3.5%) 인구가 가장 크게 늘었다. 시군구별로는 229개 시군구 가운데 170곳의 인구가 줄고 58곳만 인구가 늘었다. 시군구 중 전북 순창군의 인구 감소 폭이 4.2%로 가장 컸고 증가 폭은 경기 과천시(13.6%)였다.

지난해 거주지를 옮긴 인구 이동자는 611만6000명으로 집계됐다. 

집값이 크게 뛴 서울의 인구 순유출이 9만80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순유입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기도(13만3000명)였다.

한편, 국내 외국인 인구는 165만명으로 총인구의 3.2%를 차지했다. 국내 상주 외국인은 한국계 중국인(31.7%)이 가장 많았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