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업무지구·민족공원 등 사업 속도 기대감↑
용산 3.3㎡당 평균 아파트가격, 6016만원 기록
전쟁기념관 방문고객 급증, 상권 회복 '긍정적'
집회·시위 기준 혼란… "확실한 대책 마련해야"

용산이 부동산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집값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용산이 부동산시장에서 큰 인기를 끌면서 집값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대통령 집무실이 이전된 용산이 부동산 대통령으로 떠오른다. 윤석열 정부가 출범한 이후 집값이 급등하고 방문객이 늘어나는 등 인기가 심상치 않다. 다만 집회·시위 등으로 발생하는 소음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강남 제치고 서울 '1위 아파트' 등극

31일 KB국민은행의 주택가격 동향 월간 시계열 통계 자료에 따르면 이달 용산구 3.3㎡당 평균 아파트가격은 6016만원이다. 지난달(5929만원)보다 87만원 오르며 6000만원을 돌파했다. 용산의 상승세는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집무실 이전을 결정할 때부터 시작됐다.

집무실 이전이 확정된 이후 용산 인근 정비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치안도 보장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특히 2019년부터 시작된 용산민족공원사업이 더 일찍 완성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2027년까지 사업이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윤 대통령이 들어선 이후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용산국제업무지구도 주목된다. 해당 사업은 용산구 한강로 3가와 이촌 2동에서 인접한 용산역 철도 차랑사업소와 그 주변 지역 43만3856㎡ 부지를  철거하고 대규모 업무지구와 명품 수변도시로 탈바꿈하는 프로젝트다. 이처럼 인근 주민뿐만 아니라 타지역에서도 관심이 높아지면서 용산의 집값은 꾸준하게 올랐다.

한국부동산원의 ‘5월 넷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23일 기준) 용산 매매가격은 0.05% 오르며 9주 연속 상승했다. 전셋값도 마찬가지다. 이달 3.3㎡당 용산구 아파트 평균 전세값은 3015만원으로 지난달(2992만원)보다 32만원 상승했다. 용산구 전셋값이 3000만원을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아울러 용산은 올해 가장 높은 아파트를 보유한 지역으로 꼽혔다. 강남이 1위를 차지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으나 용산이 왕좌를 차지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에서 실거래가 등록된 아파트 중 가장 가격이 높은 단지는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나인원한남’과 ‘한남더힐’이다.

나인원한남 전용면적 206㎡(8층)와 한남더힐 전용면적 235㎡(6층)은 모두 85억원에 거래됐다. 특히 해당 단지들은 모두 대통령선거가 끝난 3월20일 이후 매매계약이 체결됐다. 나인원한남은 3월24일, 한남더힐은 지난달 26일이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결정된 이후 집값상승 기대감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윤석열 대통령이 집무실 이전을 결정한만큼 집회와 시위로 발생하는 불편함을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집무실 이전을 결정한만큼 집회와 시위로 발생하는 불편함을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방문객 급증… 소음대책 필요하다

집무실 이전 이후 용산에 방문하는 국민이 많아졌다. 특히 용산에 위치한 전쟁기념관을 찾는 방문객이 급증했다. 전쟁기념관 통계에 따르면 지난 1~27일 이용객은 8만1989명으로 지난해 동월(3만7292명) 대비 119% 증가했다. 집무실 이전 첫 주말(14~15일) 이용객은 1만3300명, 두번 째 주말(21~22일)은 1만6043명에 달했다.

유동인구가 급증하면서 용산 상권이 활성화될 것이라는 조사결과도 나왔다. 상업용 부동산 데이터 전문 기업 알스퀘어가 ‘용산 시대 개막에 따른 상업용 부동산 시장 영향’에 대해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6명이 집무실 이전이 상권에 긍정적인 효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답했다.

이처럼 용산의 인기가 하늘을 찌른다. 다만 각종 집회·시위로 발생하는 소음에 대한 우려는 커진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결정될 때부터 소음과 관련된 걱정이 많았다. 인근 주민들의 주거환경을 악화시키고 교통혼란도 가중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결국 이들의 우려는 현실화됐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는 지난 16일부터 새 정부 추가경정 예산에 장애인권리예산을 반영해달라며 용산 일대를 장악했다. 출근길에는 경적소리가 가득했고 시위단체와 경찰들로 도로가 붐볐다.

지난 21일에는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통사) 관계자 70명이 전쟁기념관 앞에 모여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쿼드(Quad) 참여 반대, 전시작전통제권 환수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철수 등을 요구했다.

이 가운데 법원과 경찰의 의견이 엇갈리면서 혼란이 가중된다. 김창룡 경찰청장은 지난 30일 정례간담회에서 “경찰입장에서 본안소송을 통해 법원 입장을 받아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현재 입장을 유지할 계획”이라며 “판결을 통한 법원의 확정된 입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에 따라 내부적으로 집시 관련 법률 개정 등 필요한 조치들도 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경찰은 본안 소송 결과까지 8개월 정도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집회 금지 구역으로 명시된 ‘관저’에 집무실이 포함되는 것은 법원이 판단할 전망이다. 하지만 법원은 지난 11일 성소수자차별반대무지개행동(무지개행동)의 대통령 집무실 인근 집회를 조건부 허용한 것을 시작으로 지난 27일까지 6건의 집회금지 통고 집행정지 신청에 모두 집회 신고 단체의 손을 들어줬다.

경찰은 집회·시위에 관한 법률(집시법) 11조를 통해 대통령 집무실이 관저에 포함된다며 100m 이내 집회금지를 통고했으나 법원은 6차례 모두 집무실은 관저가 아니라고 판단했다. 관저와 달리 집무실 앞은 집회·시위 자유가 일정 부분 보장돼야 한다는 의미다.

국민들의 의견도 엇갈린다. 부동산 관련 커뮤니티에서 한 누리꾼은 “이미 예상했던 일이고 단체들이 집회·시위할 권리도 무시할 수 없다”며 “모든 입장을 수용할 수는 없으나 확실한 기준을 마련해 혼란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시끄러워서 용산을 떠나는 사람도 많아질 것이다. 기존 주민들을 내친다면 의미가 없는 행동”이라며 “긍정적인 부분보다 부정적인 부분이 더 많다고 생각한다. 정부가 나서 반드시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