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친환경 수소정책 실현에 주도적 역할
새 정부와는 전기차·로봇으로 관계 개선 시도할 듯

그린뉴딜 정의선 현대차 수석부회장 발표듣는 문대통령 /사진=연합뉴스 제공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2020년 7월 청와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보고대회에서 발표자로 나서는 등 문재인 정부와 수소분야에서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문재인 정부와 가장 친밀한 관계를 지속한 재벌 총수는 단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다.

정 회장은 청정연료를 통한 탄소중립 실현에 꽂힌 문 대통령의 취향을 수소로 저격했다.  수소차를 매개로 정 회장은 문재인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한 '수소경제'의 견인차 역할을 했다.   

세상은 바뀌었다. 문재인 정부의 친환경 정책과는 결이 다른 윤석열 정부가 출범을 앞두고 있다.  정 회장이 어떤 아이템과 아이디어로 윤 정부와 접점을 찾을지 재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수소경제 공감대, 문재인 정부와 ‘밀월’
정 회장은 수소경제로 문재인 정부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왔다. 문 대통령은 취임 다음해인 2018년 2월 처음으로 수소차 넥소를 시승하면서 현대차에 애정을 보였고, 그해 10월 프랑스 국빈방문 때도 현대차가 수출한 넥소를 시승하며 '세일즈역'를 자청했다. 

 2019년 1월에는 울산에서 열린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 전략보고회에서 넥소의 심장인 연료전지시스템에 관심을 보였다. 이런 인연이 중첩되면서  정 회장은 문 대통령을 대면할 기회가 많아졌고, 2020년 7월 청와대에서 열린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보고대회에서는 직접 발표자로 나서기도 했다.

정부의 수소경제 추진에 발맞춰 정 회장은 지난해 민간기업이 중심이 된 수소기업협의체 출범에도 주도적 역할을 했다. 수소기업협의체는 탄소중립과 수소사회 구현을 목표로 기업의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됐다. 정 회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과 협의체 공동의장을 맡았다.

정 회장은 수소 전기차 레저용차량(RV) 라인업을 1종에서 3종으로 늘리는 등 세계 최고 수소차 경쟁력 유지에 발벗고 나섰고, 연료전지시스템분야 강화와 수소생태계 기반 마련에 힘써왔다.

그는 올해 초 수소연료전지 공장에 11억달러(약 1조3351억원) 투자 계획도 내놨다. 신년사에서는 “전기차와 수소를 다양한 모빌리티와 산업분야의 동력원으로 삼아 그룹 전반에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로드맵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실행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CES에서 단연 눈길을 끈 분야는 로보틱스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CES에서 '이동 경험의 영역을 확장하다'는 주제로 로보틱스 비전을 밝혔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5대 메가테크’공약과 정의선 회장의 로봇산업 육성 계획이 맞물리면서 두 사람간 소통이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다.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차기 정부와는 로봇산업 이해관계 맞물려 
최근 정 회장은 로봇을 차세대 성장동력 낙점하고 관련 분야 육성에 피치를 올리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맞춰 미래사업 경쟁력 강화와 신성장동력 확보 등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대규모 투자로 사업 확장에 나선 상태다. 지난해엔 1조원을 들여 로봇전문 업체인 보스턴다이내믹스 인수를 완료했다. 정 회장은 인수 과정에서 2390억원을 직접 투자해 지분 20%를 확보했다.

그는 “현대차 역량에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로보틱스 기술을 더해 미래 모빌리티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전자·정보기술(IT) 전시회인 CES 2022에서는 4족 보행 로봇 ‘스팟’, 인간형 로봇 ‘아틀라스’를 선보였다.

올해는 스턴다이내믹스를 통해 '스팟' 상용화에 나설 방침이다. 그는 물류로봇 스트레치까지 시장에 선보일 계획으로 사업 확장에 속도를 올렸다.

윤석열 당선인이 내세운 ‘5대 메가테크’ 공약은 정 회장의 새로운 모빌리티 사업구상과 일치한다. 5대 메가테크는 새 정부 산업정책의 밑그림으로 AI·반도체·로봇, 바이오헬스산업, 항공우주, 탄소중립, 양자 분야에 대한 집중 육성 공약이다.

재계 관계자는 “정 회장이 현 정부와 수소경제 정착에 합을 맞춰왔다면 차기 정부에서는 로봇산업 확대를 목표로 소통을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당선인 공약과 정 회장 구상이 맞물리면 미래사업에 대한 보폭도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