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FOMC '자이언트 스텝' 단행
한국은행 7월 '빅스텝' 가능성↑
1900조 가계부채 위험부담 커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단행했다. 1994년 11월 이후 28년 만이다. 인플레이션이 그만큼 ‘심각’하다.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는 1981년 12월 이후 40년5개월 만에 가장 높다. 유동성 파티는 끝났고, 긴축은 가파르다. <서울와이어>는 미국의 이번 기준금리 인상이 증권과 부동산, 가계대출 등 금융시장 주요부문에 미칠 영향을 점검했다. [편집자 주]

사진=서울와이어DB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미국이 7월에도 금리를 인상하면 한미 금리가 역전되기 때문에 한국은행이 금리를 0.5%포인트 이상 올릴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한국은 가계부채 비중이 높아 급격한 금리 인상에 취약하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가 연내 2.5%까지 높아지고, 대출 금리도 연 8%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19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가 자칫 경제 위기의 뇌관이  될  수 있는 엄중한  상황이다.

◆주담대 금리 결국 7% 넘어, 이자부담 압박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장에서는 한은이 7월 금통위에서 여태껏 한 번도 한 적 없는 빅스텝(기준금리 한 번에 0.5% 인상)을 단행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문제는 금리 인상에 따른 파급 효과다. 물가 급등을 막는 것도 급하지만, 금리를 인상하면 1900조원에 육박한 가계부채의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올 들어 줄어드는 추세이긴 하지만 1분기 말 현재 가계부채 규모는 1859조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기준금리가 연내 2.5%까지 높아지고, 대출 금리도 연 8%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 시중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최고금리는 결국 연 7%를 넘어섰다. 이날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 등 4대 시중은행의 고정형 주택담보대출 최고 금리는 연 4.33~7.09%로 나타났다. 지난 1월 14일 연 5.51%에서 4월말 6.31%로 오르다가 이날 7%를 넘겼다. 

급격한 금리 인상에 취약한 변동금리의 경우 대출 비중이 높아 더 위험한 상황이다. 지난 4월 변동금리 대출 비중(신규취급액 기준)은 80.8%에 달했다. 시중은행 주담대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COFIX·자금조달비용지수)는 현재 3년3개월만에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 5월 신규 취급액 기준 코픽스는 1.98%로 전달(1.84%)보다 0.14%포인트 상승했다. 시중은행은 이날부터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에 코픽스 상승분을 반영했다. 우리은행 주택담보대출 상품의 경우 전날 4.14~5.12%였던 변동금리가 이날 4.28~5.26%로 올랐다.

사진=서울와이어DB
사진=서울와이어DB

◆ 1인당 이자부담 80만원, 채무 불이행 커질라  

실제 차주들이 짊어질 이자 부담액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연말 기준금리가 2.50%까지 오르면 기준금리 인상이 시작된 지난해 8월 이후 1년 5개월간 늘어나는 이자만 26조9912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한국은행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작년 9월 기준 가계대출 잔액을 기준으로 기준금리가 각 0.25%포인트 인상될 경우 가계의 연간 이자 부담이 2020년 말과 비교해 3조2000억원 증가한다. 

대출자 한 명당 연이자 부담도 289만6000원에서 305만8000원으로, 16만1000원이 늘어난다. 지난해 8월 이후 5차례 기준금리가 인상된 것을 고려하면, 9개월 동안 불어난 가계 이자 부담액은 16조원이 넘는다. 차주 1인당 평균 이자 부담 증가액은 약 80만원 수준이다.

대출자들의 고통은 이미 시작됐다. 지난해 3억원을 연 3% 금리(30년 만기, 원리금균등 조건)로 빌린 A씨의 대출 초기 월이자 부담은 75만원이었다. 그러나 지난달 대출금리가 연 4.5%까지 오르면서 월이자는 112만원으로 늘었다. 이달 대출금리가 더 오르면서 A씨의 이자부담은 한층 더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차주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크게 늘어나면 채무 불이행의 가능성이 급증할 수밖에 없다. 원리금을 제대로 상환하지 못하는 가계가 늘어나면 금융위기로 전이될 수 있고  이후 부실 폭탄이 터질 수 있다. 주식, 가상자산 등 자산가격 하락으로 가계의 소득까지 감소하면 위험은 더 커진다. 

높은 물가로 "장바구니에 담을 게 없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이자 부담, 원리금 상환 부담이 늘어나게 되면 소비는 계속 위축되고 기업들은 투자를 하지 않아 경기가 둔화되는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한미 간 금리 격차 축소에만 집중해 가계부채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지 못한다면 또 다른 위기에 직면하게 되는 것이다. 오는 9월 자영업자 이자 상환 유예 종료까지 다가오고 있는 만큼, 대출 부실 가능성을 더 잘 들여다 봐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