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맞춤 정책 지원·신약 개발 환경 조성 필요
FDA, 세계 최초 혁신신약 중 한국 신청 제품 없어
의료데이터·AI·빅데이터 기술합쳐 시간 비용 절감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요국 신약 개발 현황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주요국 신약 개발 현황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서울와이어 김지윤 기자] 한국의 신약 개발 기술수준은 최고 선두주자인 미국의 70% 정도로 6년, 한국보다 늦게 제약산업에 진입한 중국에는 5%가량 뒤처졌다는 평가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1일 '주요국 신약 개발 현황 비교 및 시사점'에서 "한국의 제약산업 경쟁력이 주요국 대비 턱없이 부족하다”며 “이를 극복하려면 한국형 맞춤 정책 지원 및 신약 개발 환경 조성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한국 신약 개발 기술수준은 미국과 약 6년 정도 격차를 보인다. 유럽(4년), 일본(3년)과도 큰 차이가 있다.

중국도 2015년 이후 본격적인 신약 개발 투자를 시작했는데도 한국에 비해 기술수준이 1년가량 앞섰다.

미국 FDA(식품의약국)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2017~2021년) FDA 승인을 받은 세계 최초 혁신신약(first-in-class) 중 한국 신청 제품은 단 한 건도 없었다. 미국 66개, 유럽 25개, 일본 6개 등이며 중국(대만‧홍콩 포함) 2건으로 밝혀졌다.

전국경제인연합회 '2020년 기준 미국 대비 주요국 신약 개발 기술수준 및 격차' 보고서. 사진=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국경제인연합회 '2020년 기준 미국 대비 주요국 신약 개발 기술수준 및 격차' 보고서. 사진=한국경제인연합회 제공

전경련은 한국이 제약산업 경쟁력을 높이려면 양질의 의료데이터에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합쳐 신약 개발 시간과 비용을 비약적으로 절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미국은 코로나 백신 개발과정에서 AI·빅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평균 10.7년이 걸리던 기간을 1년 이내로 단축시키는 데 성공했다. 일본도 2018년 AI·빅데이터 기반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정부 산하 이화학연구소 주도로 약 1100억원 규모 산학연 협력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이번 코로나 사태에서 확인했듯 우수 전문 인력과 AI·빅데이터를 잘 활용하면 신약 개발에 소요되는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가 신약 개발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우리 최대 강점인 양질의 의료데이터를 원활히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법적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빅데이터·의료 융합형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정부 차원의 맞춤형 정책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