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부산 고속도로에서 전기차화재로 2명 사망
배터리업계, 안전성 높이기 위한 연구개발 매진
정부, 안전인증체계 개편 추진·이력관리제 연구

전기차 화재 사고로 안전성 불안감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발생 시 대응 방법을 찾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전기차 화재 사고로 안전성 불안감이 높아짐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발생 시 대응 방법을 찾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서울와이어 박정아 기자] 잊을만하면 발생하는 전기차 화재사고로 안전성 불안감이 확산된다. 전기차 배터리 특성상 화재발생 시 빠르게 불이 커져 탑승자의 탈출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차 배터리의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발생 시 대응 방법을 찾는 등 움직임이 포착된다.

지난 4일 고속도로 요금소를 들이받은 전기차에 화재가 발생해 2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같은 화재사고는 전기차 보급 확산으로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소방청 통계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전기차 화재는 총 69건이다. 2017년 12건, 2018년 13건, 2020년과 지난해에 22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전기차 화재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쉽게 진화할 수 없어 다루기가 까다롭다. 배터리 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1000도 이상으로 급격히 온도가 올라가는 열 폭주 현상에 물 반응성이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때문이다.

배터리업계는 “화재 사고의 명확한 원인을 규명하기까지 막연한 두려움을 갖는 것은 과도하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도 안전성 논란을 떨치기 위한 연구·개발에 매진 중이다.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1000도 이상으로 급격히 온도가 올라가는 열 폭주 현상에 물 반응성이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때문에 쉽게 진화할 수 없다. 사진=픽사베이
전기차 화재는 배터리 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면 1000도 이상으로 급격히 온도가 올라가는 열 폭주 현상에 물 반응성이 높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특성 때문에 쉽게 진화할 수 없다. 사진=픽사베이

대표적으로 SK온은 배터리 셀 화재 시 불이 번지지 않게 열을 차단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불이 붙지 않는 전고체 배터리 준비에도 나섰다. 삼성SDI는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과 함께 충격 실험 등을 통해 안전을 점검한다. LG화학은 전기차 배터리의 열 폭주를 막는 첨단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고 내년에 양산한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7일 ‘전기차 배터리 이력관리 및 안전인증체계 제도화 방안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연이은 전기차 화재로 국민 불안이 높아지고 1조원을 뛰어넘는 대규모 리콜에 따라 기업부담도 가중되는 탓이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전기차 화재 등 위험에 대응하고 배터리 리스 등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안전인증체계 개편을 추진한다. 또 연구용역을 통해 핵심장치 사전인증·전기차 배터리 이력관리 제도화 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소방재난본부는 전기차 화재의 효과적인 진화 방안을 모색 중이다. 서울 소방재난본부는 15∼16일 이틀간 소방재난본부, 국립소방연구원, 한국소방기술원 등과 함께 전기차 화재를 재연하고, 발화에서부터 자연 소화까지 리튬배터리의 열 폭주 현상과 단계별 온도 등 데이터를 계측했다.

또 냉각소화, 냉각수조를 활용한 진화 등 다양한 화재 진압 방법을 실험하며 국민 불안을 잠재울 효과적인 해법을 찾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