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호 기자.
정현호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최근 수도권을 비롯한 강원, 충청 등 일부지역의 수소차 운전자들이 큰 불편을 겪어야 했다. 국내 수소 생산업체인 현대제철의 생산설비 고장으로 중부권 충전소 대부분이 일주일가량 정상 가동을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수급 불안정으로 운영을 단축했던 경기지역 8개 수소충전소 등 중부권 충전소들은 현재 정상 가동 중이다. 충전 대란은 어느 정도 해소된 것으로 보이지만, 운전자들 사이에선 여전히 불만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높다. 

정부가 대대적으로 수소경제를 외쳤으나, 인프라 구축 속도는 아직도 제자리 걸음을 한다는 게 이유다.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경우 이제 막 관련 생태계가 빠르게 잡아가는 모습을 나타낸다.

하지만 수소의 생산부터 운송, 판매까지 전체 벨류체인 구축까지는 시일이 어느정도 걸릴지 예측이 불가능하다. 장부가 구상한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누적 660기 이상 구축,, 수소차 30만대 보급 계획 달성 여부도 미지수다. 

수소 생산과 충전소 등 인프라 부족 현상이 단기간 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소비자들이 굳이 수소차를 선택할 이유는 없어 보인다. 정부가 수소차 지원에 소홀해진 것도 운전자들의 불만을 키운다. 

수소차 이용자 입장에서는 수소정책 자체가 역주행한다는 시각이 다수다. 몇 년 사이 수소차가 많이 늘었지만, 수소 생산과 충전 시설이 뒤따르지 않는 등 인프라 구축에 소홀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정부는 부랴부랴 비상점검 체계를 가동하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수소차 이용자들의 불신을 줄이기엔 역부족이다. 여기에 수소충전소 설치 지원 예산도 감액되는 등 수소산업 생태계 전반이 위축될 수 있다. 

수소 충전대란은 이 같은 상황에 이미 예견된 결과로 모두가 해결책을 알고 있다. 반복될 수 있는 수급난을 미연의 방지하고 수소경제를 앞당길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