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익태 기자
김익태 기자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의 가격 통제가 부작용만 낳고 있다. 연일 식품업계를 압박하며 가격을 단속하고 있지만 오히려 기업들은 가격 인상 대신 양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으로 대응하면서다.

슈링크플레이션은 ‘슈링크(shrink)‘와 물가 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기업이 제품 가격 인상 대신 ‘양 줄이기’를 택하는 것으로 소비자에게는 ‘숨은 가격 인상’인 셈이다.

실제 식품업계에선 한 봉지에 5개에서 4개로 줄어든 핫도그, 10장에서 9장으로 줄어든 김 등 소비자를 속이는 제품들이 계속해서 나오고 있다. 결국 소비자만 피해를 보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자 정부는 이달 말까지 슈링크플레이션에 대한 실태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그간 꼼수 인상으로 지적되던 문제에 정부가 직접 나서는 데 대해선 분명 긍정적이다. 하지만 이를 근절할 제도적 뒷받침이 없어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지 우려된다.

명분이 없다면 기업들의 가격 인상은 예견된 일이다. 원가가 올랐을 때 이윤을 내야 하는 기업은 간접적으로나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데 정부 제재에 당장 가격을 올리지 못하면 나중에 큰 폭으로 가격을 올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미 식품업계는 밀가루, 설탕 등 각종 원재료 가격이 치솟는데도 정부 눈치를 보느라 제품 가격을 마음대로 올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제품 중량을 줄이는 건 불가피한 선택이라고 하소연하고 있다.

자유시장경제에서 정부가 기업의 가격 인상을 영원히 막을 수는 없다. 기업도 과도한 슈링크플레이션을 지양해야겠지만 정부 역시 보여주기식 행정이 아닌 실효성 있는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