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제공
사진=픽사베이 제공

[서울와이어 주해승 기자] 대출비교플랫폼 통한 은행 가계대출 조회 건수와 차주 수가 꾸준히 증가해 3조원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저신용층을 중심으로 대출 플랫폼을 이용해 비교적 낮은 금리의 대출을 실행하는 경우가 늘어난 모습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최근 국내은행의 온라인 대출 플랫폼 활용 실태를 점검한 결과, 지난해 온라인 대출 플랫폼을 통한 가계대출 모집규모는 총 3조1000억원이었다. 이는 전체 신규 대출(181조8000억원)의 1.7% 수준이다. 지난해 4월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중금리대출 제도개선방안'을 봐도 비대면 대출 플랫폼을 통한 대출 조회 건수와 차주 수는 2020년 이후 꾸준히 늘어났다.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은행 13곳이 온라인 대출 플랫폼과 위탁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은행들은 대출모집 채널을 다변화하기 위해 플랫폼들과 위탁계약을 체결하는 추세다. 특히 상대적으로 대출금리에 경쟁력이 없었던 지방은행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지방은행에서 실행된 대출이 2조3000억원으로, 시중은행(7000억원)보다 3배 이상 많았다.

대출 비교 플랫폼은 몇 초 만에 손쉽게 예상금리와 한도를 비교할 수 있다.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대출 조회·비교 서비스는 작년 9월 금융소비자보호법 시행으로 정식 도입됐다. 토스·핀다가 2019년 신용 대출 비교 플랫폼을 만든 지 3년 만에 제도적으로 안착한 것이다. 

금소법에 따라 대출상품에 대한 판매대리 중개업자로 등록하면 영업이 가능하다. 편리함에 대출 비교 플랫폼을 찾는 소비자가 늘어나는 만큼, 아직 플랫폼과 위탁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KB국민과 농협은행도 후발주자로 참여할 가능성이 나온다. 

금감원은 지방은행을 중심으로 대출 플랫폼을 통한 대출이 늘었다는 점과 플랫폼을 통해 대출을 실행하는 차주 가운데 중금리로 대출을 받는 20∼30대 비중이 높은 점 등을 유의하고 있다. 금감원은 이로 인한 잠재리스크를 관리하고 관련 모니터링을 강화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대출 비교 플랫폼의 상품은 모두 신용 대출이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 등 5대 은행 모두 아직 플랫폼에 주택 대출 상품을 내주지 않은 상태로, 오프라인 채널이 약한 몇몇 지방은행이나 보험사, 저축은행 등만 적극적이다.

은행 입장에서는 신용대출보다 담보가치 평가가 복잡한 데다 부동산 규제라는 변수가 많기 때문에 주택담보대출을 획일적으로 전산화하기는 어렵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 같은 은행의 주장이 '주택대출시장의 주도권을 빼앗기지 않으려는 핑계'라는 지적이 나온다. 신용대출과 달리 주택 대출은 금액이 크고 기간도 길기 때문에 은행들의 수익면에서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이에 다양한 주택 담보 대출 상품도 한눈에 비교할 수 있는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