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호 기자.
정현호 기자.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KDB산업은행과 해양진흥공사가 최대 주주로 있는 HMM의 매각 절차가 본격화됐다. 정부 산하에 있는 기업의 민영화에 국가 해운산업의 명운이 달렸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간 정부는 대규모 공적자금을 투입해 HMM이 우리나라 대표 국적 해운선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왔다. 실제 HMM은 코로나 펜데믹 시기 사상 최대 이익을 내는 등 실적 우상향 곡선을 그리며 상승세를 탔다. 

공적자금 투입엔 국가 해운산업 재건이란 목표가 있었고, HMM은 제 역할을 충실히 수행했다. 산은과 해진공은 이를 바탕으로 민영화 적기라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민영화 작업이 순항할지는 물음표가 붙는다.

매각 절차에 걸림돌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구채 처리 문제가 재차 떠오르면서다. 여기에 해운시장까지 급격히 악회하며, 민영화 작업은 시작부터 큰 암초를 만났다. 이에 HMM 민영화 추진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업계에선 HMM 매각가에 대해 산은과 해진공이 보유한 영구채까지 더하면 최대 5조~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한다. 인수자 입장에서는 적지 않은 가격은 부담이다. 실제 얼어붙은 해운시장 상황을 고려하면 HMM에 대한 메리트는 이전과 달리 대폭 떨어졌다.

당장 산은은 영구채 처리와 관련해 일부를 주식전환하고, 잔여 영구채에 대해선 HMM의 상환권 행사에 따라 단계적으로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통해 주가 훼손을 막고 인수자의 부담도 줄이겠다는 구상이다. 

적정 매각가도 선정되지 않은 가운데 강석훈 산은 회장은 연내 민영화 목표 달성을 자신했다. 속도를 내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다만 영구채 이슈의 완전한 해결 없이는 민영화 작업은 제자리걸음을 걷게 될 뿐이다.

무엇보다 이번 매각 절차에 있어 영구채가 최대 현안으로 떠오르는 등 기업가치가 제대로 평가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시가총액이 9조원에 육박하는 매물로서 HMM의 가치가 영구채 이슈에 묻혀있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속전속결에 의한 민영화는 정부의 ‘해운강국’ 목표 달성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급할수록 돌아가란’ 옛말이 있다. 산은과 해진공은 당장의 공적자금 회수 문제보단 해운산업 성장에 초점을 맞춰 HMM 매각에 더욱 신중함을 기해 적합한 인수자를 찾길 바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