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아스파탐은 발암 가능 물질이지만 지금처럼 먹어도 괜찮다.”
지난 14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가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에 대해 내린 결론이다.
사실상 달라진 건 없으나 아스파탐은 시장 퇴출 분위기다. 소비자들 사이에서 아스파탐이 첨가된 식품을 기피하는 경향이 생겼기 때문이다. 기자 역시 지인과의 만남 자리에서 진짜 먹어도 되는 것인지 논쟁이 붙기도 했다.
이미 식음료업계는 ‘무(無) 아스파탐’으로 발 빠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오리온과 크라운 등 제과업체는 일부 스낵에 들어간 아스파탐을 대신할 감미료 개발에 들어갔다.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들도 자체브랜드(PB) 상품의 아스파탐 대체 계획을 유지하기로 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설명하는 국내 아스파탐 허용 기준치는 몸무게 1㎏당 40㎎이다. 몸무게 60kg의 성인이라면 하루에 제로콜라 250㎖ 55캔을, 막걸리는 750㎖ 33병을 섭취해야 하는 양이다. 아스파탐을 무한정 먹어도 되는 것은 아니지만 과도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다는 얘기다.
먹거리에선 ‘소비자 안심’이 최우선이다. 하지만 WHO는 아스파탐을 발암물질로 분류하면서도 지금처럼 먹어도 된다는 모호한 발표로 소비자들의 혼란만 가중시켰다. 단순히 ‘많이 먹으면 위험하다’는 이유로 공포를 조장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 [기자수첩] HMM 민영화, 급할수록 신중해야
- [기자수첩] 라면값 내려도 식당선 그대로, 외식물가는 언제쯤
- [기자수첩] 포스코 '미래 비전', 외풍에 흔들리는 일 없어야
- [기자수첩] 양평고속도로, 정쟁의 '희생양'이 되면 안된다
- [기자수첩] 출생통보제로 부족하다… 보호출산제 조속히 통과 돼야
- [기자수첩] 아스파탐이 발암물질? 공포감 조성 말아야
- [기자수첩] 흐지부지된 반지하 대책, 폭우 막을 자신있나
- [기자수첩] '유령 아동' 사태… 정부, 신속히 근본 대책 내놔야
- [기자수첩] 제약업계 고질병 '담합' 고치려면 '솜방망이' 처벌 사라져야
- [기자수첩] 정권 따라 움직이는 '에너지정책' 일관성 높여야
- [기자수첩] 또 터진 환자정보 유출… 확실한 대책 내놓아야
- [기자수첩] '1000원 소주' 기대감에 자영업자만 운다
- "한·중·러 고른 성장" 오리온, 2분기 영업익 25.1% 증가
김익태 기자
177dlrxo@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