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검찰총장 시절부터 '수사 개입' 의혹 제기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끝까지 간다' 특별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끝까지 간다' 특별위원회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가 지난 2019년 본인과 가족을 겨냥했던 검찰 수사의 배경에 김건희씨가 자리했을 가능성을 다시 꺼내 들었다. 

조 대표는 25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린 글을 통해 “당시 수사 라인이 독자적으로 움직였다고 보기 어렵다”며 김씨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검찰총장 시절부터 영향력을 행사해 왔다고 주장했다.

조 대표는 최근 언론을 통해 공개된 김씨의 휴대전화 메시지 내용을 언급하며 문제를 제기했다. 보도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해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게 자신의 수사 상황을 직접 묻는 취지의 연락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조 대표는 이 점을 지적하며 “윤석열 정부에서는 김건희가 법무부 장관에게 일종의 보고를 요구했고 장관은 이를 수용하는 구조였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그는 “이런 양상이 윤석열 전 대통령이 검찰총장이던 시절에도 반복됐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를 비롯한 당시 검찰 고위직의 역할도 도마 위에 올렸다. 그는 “윤 전 대통령 측근 검사들이 김건희에게 비위를 맞추며 움직였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러며서 한 전 대표와 김씨가 검사장 재직 기간 중 수백 차례 메시지를 주고받았다는 공개 기록을 다시 상기시켰다. 특히 조 대표는 김씨가 과거 통화 녹음에서 본인을 강하게 비판하는 듯한 표현을 사용한 점을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감정이 단순한 불만을 넘어 수사의 방향성에 영향을 준 것은 아닌지 의혹이 생긴다”며 “무속인 조언 등 비합리적 판단이 개입한 것인지 혹은 본인을 ‘대호 프로젝트’의 장애물로 여겼던 것인지조차 의문”이라고 했다.

아울러 조 대표는 “김건희를 적극적으로 엄호하던 정치권 인사들이 정작 이번 의혹 제기에는 묵묵부답으로 특검을 한다고 해도 드러날 것이 없다고 자신하던 이들은 왜 조용한가”라고 반문하면서 “이 문제는 개인적 감정이 아니라 권력 사유화 의혹과 직결된 사안”이라며 추후 대응을 시사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