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학규 실장 체제 11월 말 인사 유력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사진=삼성전자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삼성전자가 곧 있을 사장단 인사에서 '뉴삼성' 고삐를 죈다. 업계에서는 사업지원실 개편을 계기로 조직 쇄신과 함께 사업부장 라인을 포함한 큰 폭의 임원진 변화로 내년을 대비할 것으로 예상한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달 마지막 주에 사장단 인사를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은 최근 2년간 11월 말에 사장단 인사를 진행해왔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7일 사업지원태스크포스(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시키고, 박학규 사장을 사업지원실장으로 선임했다. 사실상 삼성 최상위 컨트롤타워의 부활로 해석된다.

새 사업지원실장으로 부임한 박학규 사장은 다양한 조직 경험을 토대로 냉철한 판단을 내린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보고서 하나하나를 직접 챙길 만큼 세밀함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번 사장단 인사 역시 박 사장이 직접 챙기며 진두지휘 할것으로 전망된다.

재계에서는 각 사업부장 라인에 대해 고강도 쇄신과 인사 변동이 있을 것이라는 예상을 내놓고 있다.

반도체를 책임지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은 최근 장기간 실적 부진으로 기술 경쟁력 약화 지적을 받아왔으나, 올해 하반기 들어 엔비디아·오픈AI 등 글로벌 기업들과 AI 메모리 협력을 확대하며 기반 경쟁력을 회복하고 있다.

시스템반도체에서도 테슬라의 대형 파운드리 물량을 확보하고 자체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를 갤럭시 라인업에 재투입하는 등 반등 조짐이 뚜렷하다.

이에 따라 전영현 부회장 체제를 유지하되, DS 각 사업부 단위에서 리더십 교체가 이뤄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전 부회장이 겸직 중인 메모리사업부장 자리는 부사장급 리더로 교체해 젊은 리더십을 수혈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파운드리사업부는 현재 영업과 기술을 중심으로 사장 2명이 분리된 체제다. 지난해 말 삼성전자는 북미 영업 전문가인 한진만 사장을 사업부장으로, 남석우 사장을 CTO로 임명하며 투톱 체제를 구축했다. 최근 수주 실적이 개선되면서 조직 효율성을 위해 다시 단일 리더 체제로 돌아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시스템LSI사업부 역시 박용인 사장이 2021년 12월부터 사업부장을 맡아 4년째 이끌고 있어 교체설이 제기된다. 엑시노스의 최근 성과를 고려하면 유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업황이 내년까지 좋을 것으로 예상되고 삼성전자도 3분기 호실적을 냈지만 여전히 더 치고나가야 하는 입장"이라며 "대규모 사장단 인사로 리더십에 변화를 주고 조직 활력을 북돋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키워드
#삼성전자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