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0월 판매 27.3%↓
다만 중고 경차는 판매 1·2위

현대차 캐스퍼. 사진=현대차
현대차 캐스퍼. 사진=현대차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올해 국내 경차 신차 판매량이 2년 연속 10만대를 넘지 못하며 사상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중고차 시장에서는 경차가 판매 상위권을 차지하며 신차 시장과는 분위기가 달랐다.

16일 현대차·기아·한국GM·르노코리아·KG모빌리티의 판매 실적을 종합한 결과, 올해 1∼10월 경차 판매량은 6만4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8만2485대)보다 27.3% 줄었다. 연말까지 경차 판매가 회복하지 못할 경우, 올해 판매량은 약 7만대 수준에 그치며 역대 최소 기록을 세울 가능성이 크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되는 경차는 현대차 캐스퍼, 기아 레이·레이EV·모닝 등 4종이다.

국내 경차 시장은 2022년 13만3023대, 2023년 12만3679대를 기록하며 10만대 이상 판매고 흐름을 유지했지만, 지난해 쉐보레 스파크가 단종되면서 1년 만에 판매량이 9만8743대로 급감해 10만대 아래로 떨어졌다.

신차 부재에 더해 생산 지연,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의 인기 확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경차의 설 자리는 더욱 줄어들고 있다.

완성차 업체도 경차 개발에 손을 뗀 상태다. 국내 경차 시장은 2021년 캐스퍼, 2023년 레이EV 이후 새로운 모델이 등장하지 않고 있다. 특히 매년 3만대 이상 판매되며 경차 시장을 이끌던 캐스퍼가 올해 1∼10월 6725대에 그치며 크게 부진한 점도 시장 침체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 경기침체로 중고차 수요가 늘면서 경차는 중고차 시장에서 높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카이즈유데이터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중고차 실거래량 기준으로 모닝이 1위, 스파크 2위, 레이 4위에 오르는 등 경차 3종이 상위 5위 안에 포함됐다.

반면 국산 경차는 해외에서 실용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캐스퍼 일렉트릭의 해외명 ‘인스터(INSTER)’는 ‘2025∼2026 일본 올해의 차’ 최종 후보 10개 모델에 이름을 올렸다. 경차 종류가 많은 일본에서 한국산 경형 전기차가 최종 후보에 포함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는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소비자들이 경차 선호도가 낮아지며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신형 경차 출시 계획도 당분간 없어 시장 침체는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키워드
#경차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