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사 퇴적에 따라 항로 수심 얕아진 것으로 추정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서울시가 한강버스 멈춤사고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서울시가 야심차게 내놓은 수상 대중교통인 한강버스 사업이 출범 직후부터 고장과 안전 위험 등 각종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16일 서울시는 한강버스 멈춤 사고와 관련해 공식 사과하고, 운항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점검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이날 이민경 대변인 명의 입장문을 내고 "15일 오후 8시 25분 잠실행 7항차 한강버스 102호가 잠실선착장 인근 118m 지점에서 일시 정지한 상황과 관련해 시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이어 "사고 발생 즉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했고, 그 과정에서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덧붙였다.
시는 사고 직후 수난구조대·한강경찰대·한강본부 등 관련 기관에 즉시 신고해 구조정을 투입했고, 오후 9시 18분까지 승객 82명 전원을 잠실선착장으로 안전하게 이송해 귀가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았고, 현장의 구조·대응 체계는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가동됐으며 선박 역시 외형 파손이나 기계적 손상이 현재까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했다.
시는 사고 원인으로 토사 퇴적에 따라 항로 수심이 얕아진 것으로 추정하나, 만조 시간대에 이동 조치해 정밀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다.
시는 특히 "한강버스 운항 초기부터 선박 안전성 강화, 수위 모니터링 고도화, 선착장 관리 개선 등 다중 안전망을 지속 보완해왔다"며 "모든 사고·오류 사례는 즉시 공개하고 조처를 해왔고 안전을 소홀히 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민주당은 한강버스의 안전 문제를 과장해 정치적 공세로 활용하고 불필요하게 시민 불안을 가중해서는 안 될 것"이라며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이번 상황을 계기로 운항 환경을 더욱 정밀하게 점검하고 시설·운항·비상대응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더불어민주당은 한강버스 사고를 두고 오세훈 서울시장을 향해 "서울시민의 생명을 건 한강버스 운항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도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안전 대책을 점검하라고 서울시에 특별 지시를 내렸다.
- 국내 경차 인기 하락…2년연속 10만대 못넘어
- [데스크칼럼] 멀고 험하지만 전속력으로 가야 하는 ‘AI 3대강국’의 길
- 삼성전자 조직쇄신 나설까…사장단 인사 '주목'
- 크로쓰 76% 급등... 지스타서 비전·전략 발표 후 유입 확대
- [증시 주간 전망대] 젠슨 황 '입' 주목해야…상법개정·글로벌 유동성 확대 ‘긍정적’
- [주간차차차] 혼다의 베스트셀러 '2026 CR-V 하이브리드'
- [유통정보통] "놓치면 후회"… 식품업계 '제철코어' 열풍
- 삼성전자, '오디세이 게임 스테이션' 팝업 체험존 운영
- 연간 전기차 판매 20만대 돌파…'친환경차 선진국 도약'
- LGD, 벤츠 전기차에 첨단 디스플레이 공급
- 페라리, 하이브리드 '849 테스타로사' 국내 공개
- 김민석, 오세훈 시정 잇따라 견제 왜?… 당권 도전 사전 포석용 관측 '눈길'
- "치사한 X" 발언 박주민… 오세훈 '한강버스' 논란 공개 저격
- 양준욱 전 의장 등 '다시 빛날 서울', 오세훈 정조준… '감사의 정원' 주민투표 공식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