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기 확대와 전기차 신모델 출시가 영향줘

(관련사진)과천시청 청사 내에 설치된 청사 전기차 충전소에서 충전중인 차량(사진=과천시)
전기차가 충전하고 있다. 사진=과천시

[서울와이어=천성윤 기자] 국내 전기차 신규 등록이 연 20만대를 돌파했다. 업계에서는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이 끝나고 성장세를 회복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16일 기후에너지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들어 이달 13일까지 신규 등록된 전기차가 20만650대로 집계돼, 사상 처음 연간 신규 등록 대수가 20만대를 넘겼다.

전기차 보급사업이 시작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등록된 전기차는 1만1767대에 불과했으나 이후 빠르게 성장했다.

특히 2020년부터 2021년 사이 신규 등록 대수가 4만6713대에서 10만427대로 115% 증가했는데, 이는 정부 지원 정책 확대와 제조사들의 신차 경쟁이 바탕이 됐다.

2022년 16만4486대까지 성장했던 신규 등록 대수는 2023년 16만2605대, 2024년 14만6902대로 감소세를 보였다. 전기차가 신기술 기반 초기 시장에서 대중 제품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충전 인프라 부족과 화재 위험성 논란이 부각되면서 시장이 주춤했던 것으로 해석된다.

올해 반등은 다양한 전기차 신모델 출시, 급속·완속 충전시설 확충, 그리고 예년보다 빠르게 확정된 전기차 구매 보조금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기준 급속충전기는 5만2000여기, 완속충전기는 42만여기로 늘었다.

다만 정부 목표치 달성은 아직 부족하다는 평가다. 정부는 2030년까지 누적 전기차 보급 목표를 420만대 이상으로 설정했으나, 이달 13일 기준 누적 등록 대수는 88만4894대에 그쳤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앞으로 5년 동안 매년 약 66만대씩 보급해야 한다.

또 정부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의 일환으로, 2030년 신차의 40%, 2035년 70%를 전기차·수소차로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하지만 올해 신규 등록 차량 140만9097대 중 전기·수소차 비중은 13.9%(19만6234대)에 불과해 격차가 크다.

키워드
#전기차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