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버스·세운4구역·광화문광장 논란 직격
"혈세 낭비·서울 정체성 훼손, 정책 검증 창 만들자"

[서울와이어=정현호 기자] 지방선거를 약 반년 앞두고 서울시 정치를 둘러싼 전선이 급격히 뜨거워지고 있다.
전·현직 민주당계 서울 지역 정치인들이 잇달아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 정책 사업을 문제 삼아 대대적인 여론전을 펼치고 여권은 즉각 반발하면서 정국이 ‘오세훈 시정’을 중심으로 격돌하는 형국이다.
양준욱 전 서울시의회 의장 등 전직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의원·구청장 후보들로 구성된 ‘다시 빛날 서울’은 지난 21일 기자회견을 통해 한강버스, 세운4구역 재개발, 광화문광장 ‘감사의 정원’ 조성 등 오 시장이 추진하는 주요 사업에 대해 주민투표 실시를 공식 제안했다.
이들은 해당 사업들을 “혈세를 낭비하고 서울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훼손하는 사업”이라고 규정하면서 “시민이 직접 판단해야 할 문제”라고 강조했다.
특히 다시 빛날 서울 측은 이날 주민투표 제안의 의미를 “단순 공세가 아니라 주민 참여를 통한 민주적 통치 회복”이라고 부각했다.
그러면서 “서울의 미래를 결정하는 사업들이 시민의 목소리 위에 설 때 지속가능성이 생긴다”며 “정책 검증과 참여의 장을 열자”고 덧붙였다.

이 같은 공세는 이미 예고된 흐름이었단 평가가 나온다. 실제 지난달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명태균 게이트’ 관련 증인 명씨가 등장하며 “오세훈이 울면서 전화했다”, “도와줬더니 고발한다” 등 직격 발언을 쏟아내자 정치권은 일순간 오 시장 개인을 정쟁의 중심으로 끌어올렸다.
이후 민주당 내부에서는 오 시장 시정 전반을 “정상화하겠다”며 전담 테스크포스(TF)까지 꾸리고 종묘 인근 세운4구역 재개발·광화문광장 조성 등 다양한 사업에 대한 비판 수위를 높여왔다.
최근에는 김민석 국무총리까지 연이어 목소리를 높이는 등 공세의 범위가 당 차원을 넘어 정부까지 확대되는 양상이다.
정치권에서는 이와 관련해 “민주당이 서울시장 후보 부재의 위기를 조기 공세로 만회하려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서울은 부동산·안전·생활 문제에서 난도가 높은 지역으로 꼽히는데, 현역 시장 프리미엄을 가진 오 시장을 견제하기 위한 ‘판 흔들기’ 전략이라는 것이다.
정쟁이 격화되자 서울시도 대응에 나섰다. 시는 지난 18일 오세훈 시정 실패 정상화 TF 단장 천준호 의원이 라디오 방송에서 “‘한강버스 사고 외부 유출 금지령’이 내려졌다”고 주장한 데 대해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 방침을 밝혔다.
또한 서울시는 “사실과 전혀 다른 내용을 지속적으로 유포하고 있다”며 강력히 반박했다.
한편 여야 공방 속에서 오 시장의 정책을 둘러싼 논란은 지방선거 정국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