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 부산대 간 파벌 갈등 해결 과제로
역대 회장 불명예 퇴진… CEO리스크도 숙제
디지털 전환 기반의 전국구 은행 도약 모색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사진=부산은행
빈대인 BNK금융지주 회장 내정자. 사진=부산은행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BNK금융그룹을 이끌 차기 사령탑으로 빈대인 전 부산은행장이 낙점됐다. 빈 회장 내정자는 내부적으로는 CEO리스크와 파벌 갈등을 수습하고 외부적으로는 빅테크 공세에 대응해야 하는 과제를 안게 됐다.

BNK금융그룹은 이달 19일 임원후보추천위원회(임추위)와 이사회를 연이어 열고 빈 전 은행장을 차기 대표이사 회장 후보로 확정했다. 다양한 업무경험과 축적된 금융분야 전문성이 인정되면서다.

빈 내정자는 BNK금융그룹 내 심화한 파벌 갈등을 해소하는 한편 그룹 출범 초기부터 끊이지 않는 'CEO리스크' 타파에 힘을 줄 전망이다.

BNK금융그룹 내 동아대 부산대 파벌 갈등은 심각한 수준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이 나서 "전임 회장이 물러난 뒤에도 특정대학, 고등학교 등의 파벌을 중심으로 내부에서 갈등이 있다는 얘길 들었다"고 언급할 정도다.

파벌 갈등이 심화한 이유는 BNK금융그룹 회장이 모교 출신을 고위직으로 발탁했기 때문이다. 

초대 이장호 회장 시절에는 모교인 부산상고, 동아대 출신 인사를 중용했다. 당시 그룹과 계열사 임원 54명 중 24명이 부산상고 또는 동아대 출신이었다. 후임자인 성 회장 역시 동아대 출신으로 해당 학교 출신에게 요직을 맡겼다. 

반대로 전임 김 회장은 부산상고 부산대 출신으로, 회장에 임명된 뒤 부산대 출신을 고위직으로 중용했다. BNK금융그룹 내 동아대 출신 임원 수가 줄었으나 다른 의미로 파벌 갈등이 심화하는 계기가 됐다.

BNK금융그룹의 'CEO리스크' 역시 빈 내정자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BNK금융그룹은 출범 이래 단 한 번도 CEO리스크에서 자유로웠던 적이 없다. 

전임 김지완 회장(제3대 회장)은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본인의 아들이 속한 회사 한양증권을 채권 인수단으로 지정하고 물량을 몰아줬다는 의혹을 받고 자진 사퇴했다.

2017년에는 성세환 전 BNK금융그룹 2대 회장이 유상증자 과정에서 주가를 조종하는 데 관여한 혐의로 구속됐다. 초대 회장인 이장호 BS금융지주(BNK금융지주 전신) 회장은 엘시티 이영복 회장에게 부산은행 대출을 알선해주고 금품을 받은 혐의로 불명예 퇴진하기도 했다.

빈 내정자는 내부 문제를 수습하는 동시에 디지털 전환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 전환으로 지역을 넘어 '메이저 은행'으로 거듭나고, 이를 기반으로 질적 향상도 모색한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빈 내정자는 디지털 전도사로 불릴 만큼, 디지털 전환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미래채널본부 부행장 시절 지방은행 역시 디지털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내부 공감대를 형성했고, 행장 취임 이후에는 지방은행 최초 모바일 뱅킹을 출시하기도 했다. 급변하는 금융환경 속에서 지방은행간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질적성장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편 빈 내정자는 1988년 부산은행에 입행한 이래 부산은행에서 경력을 쌓았다. 2008년 부산은행 경영혁신부장, 2014년 경남영업본부장, 2016년 미래채널본부 부행장을 거쳐 2017년 부산은행장에 올랐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