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 측이 내달 4일 고(故) 정몽헌 회장 20주기에 맞춰 추진하고 있는 방북 계획에 대해 북한이 수용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대해 통일부는 "매우 유감" 이라고 밝혔다.

김성일 북한 외무성 국장은 1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배포한 담화에서 현 회장 측이 정부에 대북접촉신고를 제출한 것과 관련해 "남조선(남한)의 그 어떤 인사의 방문 의향에 대하여 통보 받은 바 없고 알지도 못하며 또한 검토해볼 의향도 없음을 명백히 밝힌다"고 밝혔다.

김 국장은 “남조선의 그 어떤 인사의 입국도 허가할 수 없다는 것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정부의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현 회장 측은 지난달 27일 방북을 위해 북측과 접촉하려 한다며 통일부에 대북접촉신고를 제출했다. 현 회장 측은 정몽헌 회장 20주기 추모식을 위해 금강산에 방북하고자 아태평화위와 접촉할 계획이라고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의 '접촉 승인'이 난 뒤 북측으로부터 '초청장'을 받아야 실질적인 방북 절차가 진행된다. 북한은 이같은 과정이 진행되기 전부터 방북 거부 의사를 명백히 밝힌 것이다. 

김 국장은 또 "금강산관광지구는 공화국 영토의 일부분이며 따라서 우리 국가에 입국하는 문제에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아태)는 아무런 권한도 행사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는 그간 현 회장의 방북과 관련한 소통 창구이자 이번 접촉 신청 대상이기도 한 아태의 권한이 무력화됐음을 시사한 것이다. 

또 남북관계를 담당하는 노동당 통일전선부나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아닌 외무성을 통해 관련 입장을 발표한 것 역시 남북관계를 과거의 방식과 다르게 '국가 대 국가'의 관점에서 다루겠다는 의도가 드러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통일부는 이에 대해 "북측이 순수 추모행사를 위한 목적의 방북에 대해 일방적으로 거부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 매우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