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식품 기업 중 처음…사업 현황과 성장 전략 담아

[서울와이어 서동민 기자] CJ제일제당의 K푸드 세계화 성공 사례가 미국 하버드 경영대학원(Harvard Business School)의 교재로 채택됐다. 하버드 경영대학원이 한국 식품 기업을 연구 사례로 다룬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CJ제일제당: 글로벌 식품 리더십을 향한 여정’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이번 연구 사례에는 비비고(bibigo) 브랜드의 만두, 치킨, 가공밥, K소스, 김치, 김, 롤 등 7대 GSP(Global Strategic Products, 글로벌 전략제품) 품목을 앞세워 해외 시장을 개척한 CJ제일제당의 경영 전략과 성과, 비결 등이 상세히 담겼다.
이번 사례집은 하버드 경영대학원의 포레스트 라인하르트(Forest L. Reinhardt) 교수와 소퍼스 라이너트(Sophus A. Reinert) 교수, 슈 린(Shu Lin) 연구원이 공동 집필했으며, 이선호 CJ제일제당 식품성장추진실장도 참여해 사업 현황과 성장 전략 등을 소개했다.
이 실장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CJ제일제당은 글로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면서 “K푸드를 즐기는 것이 일시적인 유행을 넘어, 하나의 문화로 자리잡도록 ‘한국 식문화 세계화’를 더욱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사례집은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경영철학인 ‘온리원(OnlyOne) 정신’이 담긴 햇반에 주목했다. ‘온리원 정신’의 최초∙최고∙차별화 전략을 통해 CJ제일제당의 사업∙상품∙서비스가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를 이야기했다.
이와 함께 해외 시장의 트렌드를 면밀히 분석한 후 GSP 품목을 선정하여 사업을 확장한 내용을 다뤘다. GSP의 대표 제품인 만두는 한식의 정체성을 지키면서도 국가별로 소비자의 입맛에 맞춘 ‘현지화 전략’을 통해 더 많은 성과를 낳고 있다고 소개했다. 비비고 만두는 2020년 단일 품목으로 글로벌 연 매출 1조 원을 돌파, 2021년부터 미국 만두 시장 점유율 1위로 올라섰다.
또 미국 기업 슈완스를 인수한 뒤 2019년 23억 달러였던 매출을 2022년 30억 달러까지 성장시킨 성과를 담았다. 이어 지난해 슈완스의 대표 제품인 ‘레드바론(Red Baron)’이 미국 냉동피자 시장에서 2019년 14%였던 점유율을 21%까지 끌어올리며 리딩 브랜드로 성장했다고 강조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K컬처 축제인 KCON을 비롯해 2017년부터 개최하고 있는 PGA 투어 ‘THE CJ CUP’, 2021년부터 시작된 NBA 최고 인기팀 LA 레이커스와의 글로벌 파트너십 등 문화 마케팅을 통해 전세계의 젊은 층을 비비고의 새로운 고객으로 끌어들였다는 내용도 다뤘다.
- CJ올리브영, 상생경영에 3년간 3000억원 투입
- CJ푸드빌 빕스, 설맞아 '프리미엄 스테이크 선물세트' 선봬
- 토스,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15일 오픈
- 이스라엘인 600여명, 자국의 가자지구 '집단학살' ICJ 제소에 찬성
- CJ온스타일, ‘원플랫폼 2.0’ 캠페인 건기식 첫 주자 ‘휴온스’ 선정
- 날개단 K푸드… 농식품 산업 수출액 121억달러 '역대최고'
- CJ·대상 이어 오리온까지… 미래 먹거리는 '바이오'
- CJ제일제당, 생분해성 비닐포장재 개발… 올리브영 배송에 적용
- CJ제일제당 비비고, 글로벌 로고 변경… "K-푸드 세계화 박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