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이 키오스크를 이용해 커피를 주문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시민이 키오스크를 이용해 커피를 주문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전국에서 커피전문점 수가 10만개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저가 커피 브랜드 매장이 빠르게 늘고 있다.

1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커피전문점 수는 2022년 말 기준 10만729개로 전년(9만6437개)보다 4292개(4.5%) 늘어 10만개를 돌파했다.

커피전문점은 2016년 5만1551개에서 6년 새 2배 가까이 늘었다. 종사자는 27만명으로 종사자 1∼4명 이내 매장이 8만4000개를 차지했다. 국내 카페 가운데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2만6000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지난 4월 발표한 지난해 가맹사업 현황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커피 업종 가맹점 수는 전년보다 13% 늘었다. 커피 브랜드 수는 886개로 치킨(669개)보다 200개 넘게 많다.

커피전문점은 1999년 7월 스타벅스가 국내에서 문을 연 이후 2000년대부터 우후죽순 들어서기 시작했다.

스타벅스는 25년 동안 매장을 1900개 넘게 늘리며 성장했다. 이디야커피와 메가커피, 컴포즈커피 같은 중저가 커피나 저가 커피 브랜드는 매장을 3000개 안팎으로 늘렸다

커피 매장 수가 급격히 늘어난 데는 대표적인 ‘소자본 창업’ 업종이라는 것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프랜차이즈산업협회 관계자는 “상권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프랜차이즈 카페는 1억원 이내로 창업할 수 있고 작은 개인 카페는 몇천만원이면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편의점 수와 비교해 너무 많아졌다는 점에서 곧 포화에 이르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CU와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등 편의점 4사 매장 수는 지난해 말 기준 5만5000개가 는다. 커피전문점 수가 편의점의 대략 2배인 셈이다.

커피업계 관계자는 “상권별로 경쟁이 치열해진 탓에 폐업률도 급증하고 있다”며 “프랜차이즈 매장은 더 늘어날 수 있을지 몰라도 전체 매장 수가 늘어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