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철강, 대응책으로 가격 경쟁력과 기술 경쟁력 앞세워 美 현지 시장 대응
미국의 25% 관세부과로 미국산 철강업체들이 가격 인상 오히려 '기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25%의 철강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사진=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2일부터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25%의 철강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박제성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철강업체에 12일(현지 시간)부터 25% 관세를 전격 부과하면서 국내 철강업체들이 실질적인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1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업체들은 이번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해 가격 및 기술 경쟁력을 앞세워 미 현지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특히 미국 철강업체들이 자국 시장에서 25%의 관세 부과 이후, 미국산 철강 제품의 가격을 인위적으로 급등하고 있는데  K-철강은 이를 새로운 기회로 삼고 있다.

철강 산업은 한국 경제를 떠받치는 전·후방 산업을 잇는 중요한 가교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와 철강업계는 미국의 이번 철강 관세 정책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25% 관세, K-철강에 오히려 기회될 수 있어

철강업계는 미국의 25% 관세 부과가 오히려 한국 철강업체들에게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국 철강업체들이 관세 부과 틈을 타 자국산 철강 가격을 인상하면서, 경쟁력 있는 가격을 자랑하는 한국산 철강 제품의 수요가 예상보다 크게 줄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한국산 철강 제품에 부과되는 25% 관세는 미국이 수입한 한국산 제품 가격에 적용되며, 예를 들어 1000달러의 철강 제품에는 250달러의 관세가 추가된다. 

현대차증권의 박현욱 연구원에 따르면 "2월 이후 미국 내 열연코일 스팟 가격이 톤당 650달러에서 850달러로 31% 상승했으며, 미국 최대 철강업체인 NUCOR는 철강 가격을 750달러에서 900달러로 5차례에 걸쳐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같은 기간 유정관 내수 가격도 톤당 1800달러에서 2350달러로 31% 급등했다.

박 연구원은 "특히 한국 강관 산업의 최대 수출처가 미국인 만큼, 미국 유정관 가격의 급등이 국내 강관업체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K-철강, 가격·품질 경쟁력 강화로 대응

(사진=포스코)
(사진=포스코)

한국 철강업체들은 이번 미국의 25% 관세 부과에 대해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해 시장에서의 충격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미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하기 어려운 품목에 대한 품질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철강업계에 속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철강협회, 철강 업체와 긴밀히 협력해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철강업계 관계자들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으며,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과 품질 향상, 제조 원가 혁신에 몰두해 초격차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미국 현지 시장에 공급되는 국가별 철강기업 간의 가격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 속에서, 국내 철강업계가 대미 협상에 적극 나서고 있다"면서 "특히 미국 현지에서 생산이 어려운 철강 제품에 대한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기업 차원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