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박동인 기자] 금융감독원이 전자지급결제대행(PG) 정산자금 외부관리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티몬·위메프 사태와 같은 미정산 문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10일 금감원은 PG 업체가 판매자에게 지급해야 할 정산자금의 최소 60%를 신탁이나 지급보증보험을 통해 외부에서 관리하도록 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PG사는 매 영업일 기준으로 정산자금을 산정해 관리해야 하며, 부족분은 다음 영업일까지 반드시 보완해야 한다. 외부에 맡긴 자금은 국채·공채 등 안전자산으로만 운용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PG사가 파산하거나 회생절차에 들어갈 경우, 정산자금을 위탁받은 은행이나 보험사 등 관리기관이 판매자의 청구에 따라 직접 지급하도록 했다. 금감원은 이를 통해 판매자가 신속하게 정산금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망을 구축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지침은 행정지도 형태로 제시돼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사실상 강제력이 부여된다. 금감원은 연말까지 PG사들이 시스템을 정비하고 외부기관과 계약을 마치도록 한 뒤, 내년 1월 1일부터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금감원은 “법 개정까지는 시일이 소요되는 만큼, 판매자 보호에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임시 안전장치를 마련했다”며 “시행 과정에서 업계 의견을 수렴하고 제도적 보완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동인 기자
grafitt@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