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사 협업 활용 확장성↑… IP밸류체인 강화 성과 기대

네이버는 DC코믹스, 하이브 등과 함께 콘텐츠 협업을 진행하고 글로벌시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사진=네이버웹툰 페이지 캡처
네이버는 DC코믹스, 하이브 등과 함께 콘텐츠 협업을 진행하고 글로벌시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사진=네이버웹툰 페이지 캡처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네이버가 네이버 웹툰을 중심으로 글로벌 스토리 플랫폼 확장에 나선다. 최근 실적에서도 콘텐츠분야 성장세가 상당했던 만큼 성과 극대화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는 18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밋업 행사에서 글로벌 스토리테크 플랫폼 ‘네이버웹툰’의 성과와 방향성을 공개했다.

김준구 네이버웹툰 대표는 “네이버가 구축한 콘텐츠 생태계가 이렇게 새로운 산업으로 성장하고 주목받는 점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느낀다”며 “앞으로 스토리텔링 콘텐츠가 글로벌 엔터테인먼트산업의 핵심 요소로 떠오를 수 있도록 계속해서 새로운 시도를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준구 네이버 웹툰 대표 사진=네이버 제공
김준구 네이버 웹툰 대표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에 따르면 네이버웹툰 플랫폼에서는 1억6700만명의 월간 사용자와 600만명의 창작자가 활동한다. 회사는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 비즈니스모델, 지식재산권(IP) 벨류체인 확장에 나설 계획이다. 

특히 협업으로 해외 플랫폼확장에 주력한다. 네이버는 이날 ‘슈퍼캐스팅’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방탄소년단(BTS) 소속사인 하이브(HYBE), DC코믹스 등과의 협업계획을 밝혔다. 협업 회사들과 함께 오리지널 스토리 확보에 나선다는 구상이다. 

BTS의 세계적인 인기를 고려하면 글로벌 팬덤 효과가 상당할 전망이다. 양사는 이전에도 네이버웹툰에서 ‘화양연화’ 웹툰 연재로 성과를 낸 바 있다. BTS의 자체 세계관이 탄탄한 만큼 원소스멀티유즈(OSMU) 활용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BTS 외에도 투모로우바이투게더나 새 걸그룹 준비 등도 전해지면서 세계관 활용 IP의 수도 늘어날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DC코믹스 IP 활용 성과도 기대를 모은다. 네이버는 이미 마블코믹스 시리즈를 연재 중이며 이번에 DC코믹스 협업까지 끌어내 해외 코믹스 팬을 흡수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카카오가 DC코믹스 콘텐츠 협업을 진행했지만 현재 카카오웹툰에서 서비스가 적용되지 않았다.

네이버의 공격적인 행보는 올해 실적발표에서도 드러났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는 콘텐츠 사업에서 네이버웹툰과 왓패드·웹툰스튜디오 투트랙 전략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한 대표는 "6월말 양사간 시너지 창출의 첫 단계로 왓패드 웹툰 스튜디오를 출범했고 통합 10억건 이상의 원천 IP를 기반으로 글로벌 콘텐츠 사업을 본격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네이버의 올 2분기 실적에서 콘텐츠사업 매출은 14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2% 상승했다. 해당 사업은 2분기 매출액 1조6635억원 중 10% 가량을 차지한다. 콘텐츠사업은 분기마다 약 100억원씩 매출이 급성장했으며 신사업 지원 푸시까지 받는 중이다. 

한편 카카오가 픽코마와 카카오웹툰 리뉴얼 등 혁신을 통해 시장 상황을 뒤집으려 하지만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2020 웹툰 사업체 실태조사’에 따르면 네이버 웹툰 페이지뷰 점유율은 전체 시장의 65.1%로 카카오페이지(15.6%)와 다음웹툰(3.9%)의 점유율을 합친 것보다 높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