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업계 장시간 노동 문제 해결 앞장
'재택+출근' 혼합근무 방안도 고려중

네이버가 주52시간 근무제 정착을 위해 시스템 차단 방식의 셧다운 제도를 도입한다.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가 주52시간 근무제 정착을 위해 시스템 차단 방식의 셧다운 제도를 도입한다. 사진=네이버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네이버가 주 52시간 근무제 정착을 위해 최대 근무한도 도달 4시간 전에 시스템을 차단하는 제도를 시행한다.

7일 네이버에 따르면 회사는 법정 근로시간 최대치에 도달하기 4시간 전부터 사내 업무 도구 접근을 막는 정책을 다음 달 도입한다. 라인 메신저와 네이버웍스 등이 셧다운 대상이다.

이는 사내 복지 현황에 대한 사회적 감시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라 이뤄진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해 직장 내 괴롭힘 사망사건이 발생한 뒤 고용노동부의 감독을 받았다.

고용부의 특별감독 결과 네이버는 전현직 직원에게 연장, 야간, 휴일근로수당 등 86억7000여만원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고, 임신 중인 여성 근로자에게 시간외 근무를 시킨 것으로 조사됐다.

네이버의 수장으로 취임한 최수현 네이버 대표는 취임 직후부터 이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최 대표는 지난달 18일 ▲유연하게 일할 수 있는 업무 환경 ▲충분한 재충전 제도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팀플레이’ 강화 등 사내 복지제도 개선안을 발표하고 쇄신 작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셧다운 제도 도입 방법을 두고 고민이 많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사옥출입을 제한하는 게이트오프 제도가 검토됐으나 재택근무가 대부분인 상황에서 실효성이 떨어져 선회했다.

네이버의 복지 쇄신 작업 결과 ▲이틀 연속 연차를 사용 시 1일 휴가비 5만원 ▲3년 이상 근속 시 최대 6개월까지 무급 휴직 ▲원격 업무기기 지원 ▲사내식당과 운동 공간 무료 제공 ▲7월부터 중식과 석식 무료 제공 등이 실시된다.

기존 문제가 됐던 사내 괴롭힘 문제도 민감하게 대응했다. 네이버 노사는 직장 내 괴롭힘 조사 기구를 이사회 산하에 마련하고 관련된 신고를 독립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시행된 재택근무제도 연장안은 고민이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네이버가 최근 본사 직원 47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최적의 근무 방식으로 사무실출근과 재택근무를 오가는 혼합식 근무가 52.2%로 가장 많은 지지를 받았다. 이어 주 5일 재택근무(41.7%)가 뒤를 이었다. 

업계는 혼합근무가 대세로 자리잡을 것으로 보고 네이버의 대응에 따라 업계 관행이 바뀔 것으로 예상한다.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가 국내 IT업계에서 갖는 위상을 고려할 때 복지제도와 근무 형태 등이 기준이 된다”며 “완전한 사무실 출근은 인재 유출로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직원을 붙잡기 위해서도 필요한 조치”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