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도심·저밀도 지역 서비스 단계적 사업 추진

SKT,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은 UAM 상용화 공동 추진 컨소시엄과 함께 2025년 관광·공공 서비스 노선 출범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사진=SKT 제공
SKT,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은 UAM 상용화 공동 추진 컨소시엄과 함께 2025년 관광·공공 서비스 노선 출범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2일 밝혔다. 사진=SKT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SK텔레콤이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 공동 컨소시엄과 함께 2025년 관광·공공 서비스 노선 출범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KT,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한국교통연구원, 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으로 구성된 UAM 상용화 공동 컨소시엄은 12일 오후 한국공항공사에서 체결식을 갖고 2025년 상용 노선 사업화 목표를 공식화했다.

SKT는 비도심지역 관광노선 등 저밀도지역을 중심으로 사업을 실시하고 향후 도심지역에서의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회사는 인구 비밀집 지역이 고층빌딩같은 장애물로 인한 공역제한 문제가 없어 도심 상용화 이전 사회적 수용성을 따져볼 수 있다고 본다. 

5개사는 이번 업무협약에서 컨소시엄이 2025년 관광·공공용 UAM 사업 개시라는 구체적 목표 설정과 분야별 역할 분담, 실제 협업 가속화에 의의를 뒀다. 

이번 업무협약은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이 합류하는 자리이기도 했다. 기술원은 UAM 운항 안정성 확보의 핵심인 국지적 기상 관측 및 예보 기술 관련 연구를 선도 중이다. 컨소시엄은 기술원이 기상상황 관련 기술을 통해 서비스 안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컨소시엄은 운항서비스, UAM 기체 도입, 버티포트(vertiport), 교통관리, 플랫폼, 시장조사, 기상정보 등 각 분야에서 역할을 맡아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SKT의 경우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및 운영, UAM용 통신 시스템 구축, 미국 Joby Aviation과의 협업을 통한 UAM 실증 강화 역할을 맡았다. 이외에 ▲UAM 이착륙장(Vertiport) 구축 운영기술(한국공항공사) ▲기체개발, 기체 정비, 항행·관제·ICT 솔루션(한화시스템) ▲UAM 서비스 수요예측 및 대중수용성 확보방안 연구(한국교통연구원) ▲UAM용 실시간 기상정보 및 예측서비스 제공(한국기상산업기술원) 등을 각각 담당한다.

유영상 SKT 대표는 “국내 환경에 최적화된 UAM 교통체계와 고객 서비스를 정립하기 위해 단계별 노력을 기울이고 파트너 협업으로 사업화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