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밀레니엄힐튼서울에서 열린 2022 한반도국제평화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권영세 통일부 장관이 30일 오전 서울 중구 밀레니엄힐튼서울에서 열린 2022 한반도국제평화포럼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권영세 통일부 장관은 30일 통일부가 주최한 ‘전환기 시대 한반도 통일비전과 남북관계’를 주제로 한 ‘2022 한반도국제평화포럼(KGFP) 개회사’에서 북한이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에 호응하면 전폭적인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밝혔다.

권 장관은 “북한이 지금의 태도만 바꾼다면 미국, 중국 등과 협력해 국제사회의 전폭적인 지원을 끌어낼 것”이라며 “북한이 우리의 제안을 진지하게 검토해서 건설적인 자세로 대화에 나서기를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서는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평화를 정착시키며 남북의 경제적 번영을 실천적으로 모색하는 제안”이라고 평가하며 “북한이 제기하는 소위 체제 안전 문제 등도 한·미 간 협조를 바탕으로 북한과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장관 어떤 의제에 어떤 자리라도 대화의 문만 열린다면 직접 뛰어갈 각오라고도 강조했다. 그는 “대화가 시작되면 허심탄회하게 요구사항들을 이야기하고 실용적이며 유연한 자세로 협의하며 실질적 해결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의 이런 제안이야말로 역대 어느 정권보다 실현 가능성이 높고, 또한 가장 강력한 실천 의지가 뒷받침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한국 정부의 ‘대단한 구상’ 제안에 북한이 조롱 메시지를 전달한 것을 두고는 “참으로 안타깝다”며 “(역대) 보수정권은 약속 자체에 인색했고 진보정부는 약속을 실천할 능력이 부족했다”며 윤석열 정부는 이전 정부와 다르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권 장관은 “담대한 구상을 위한 대화의 실천은 한반도와 동북아 나아가 세계 평화의 발판이 되고 남북미 대화로 이어지는 징검다리가 될 것”이라며 “윤석열 정부는 공고한 한미동맹을 바탕으로 남북대화뿐만 아니라 미북 대화의 재개도 이뤄지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며 이를 남북미 대화로 발전시켜 비핵화를 이룰 실질적 소통 공간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