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인 둘러싼 '몰아주기' '내부거래' 의혹 의식한 듯
내부적으로 일정 조율 중… 이달 내 사퇴 가능성도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김지완 BNK금융지주 회장이 이달 중 사퇴할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국정감사에서 본인을 둘러싼 논란이 제기되자 사퇴를 결심한 것으로 보인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김 회장은 최근 사퇴하기로 결심하고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 회장은 지난 2017년 취임 후 한차례 연임에 성공하면서 내년 3월 말까지 임기가 보장됐다.

업계는 최근 본인을 둘러싼 특혜 의혹이 BNK금융지주에 영향을 미친데 대한 책임을 지고 회장 자리에서 물러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특혜 의혹은 금융감독원 국정감사에서 최초 제기됐다.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은 김 회장의 아들이 이직한 한양증권이 BNK금융계열사의 채권 인수단에 선정됐고 이후 채권을 대량으로 인수하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019년 1000억원 수준이던 한양증권의 BNK 계열사 채권 인수물량은 2020년부터 크게 증가했다. 2020년은 김 회장의 아들이 한양증권 대체투자업 센터장으로 이직한 시기다. 2020년 인수물량은 4600억원, 2021년 4400억원, 2022년 8월 기준 1조1900억원으로 급증했다.

또한 김 회장의 아들의 전 직장에 관한 투자 관련 부당 내부거래 의혹도 제기됐다.

BNK자산운용이 2018년 4월 핀테크 사모펀드를 만들어 김 회장의 아들이 영업이사로 근무하던 A 업체에 80억원을 투자했는데 해당 펀드에 연체가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BNK캐피탈이 특수목적법인(SPC)을 통해 50억원을 대출해 부당 내부 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현재 금감원은 BNK금융그룹 검사에서 김 회장 아들 관련 특혜 의혹 외에도 김 회장이 금융지주 회장 후보군에 외부인사를 추천할 수 없도록 경영승계 계획을 바꿔 사실상 회장 자신과 본인이 임명한 계열사 대표로 제한했다는 '사유화' 의혹에 대해서도 들여다보고 있다.

전국금융산업노조와 부산은행 노조는 이날 금융당국의 신속한 조사를 요구했다.

노조는 성명에서 "책임경영을 추구해야 할 금융지주의 경영진이 계열사를 동원해 가족의 이익을 위한 부당한 거래를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며 "위법 행위 여부에 대한 금융당국의 철저한 수사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이와 함께 "정권이 이를 정치적으로 악용해 내년 3월 끝나는 김 회장의 임기를 겨냥, 친정권 인사를 지주사 회장으로 꽂아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겠다"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