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중국이 빚의 함정에 빠진 나라들에 막대한 구제금융을 제공하면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9일 미 CNN방송에 따르면 세계은행(WB)과 하버드 케네디스쿨 등의 공동연구 결과 중국은 지난 2008년에서 2021년 사이 '일대일로' 프로젝트를 통해 빚더미에 앉은 22개 국가를 구제하기 위해 2400억 달러를 지출했다.
이 기간 중국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은 국가에는 아르헨티나, 파키스탄, 튀르키예, 스리랑카 등이 포함됐다.
이는 국가부도 위기에 처한 국가들에 장기적인 '긴급대출'을 실시하는 국제통화기금(IMF)의 구제금융 규모에 비해서는 작지만 중국은 개발도상국이나 빈곤국에 막대한 자금을 털어넣고 있다.
중국의 이런 행보는 미국이 글로벌 강대국으로 부상하던 1930년대와 2차 세계대전 직후 라틴아메리카 등 고부채 국가에 구제금융을 제공하던 것과 비슷하다.
다른 점은 중국의 구제금융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은밀하게 이뤄진다. 중국은 다른 나라와의 통화스와프 협정이나 중앙은행의 대출 등에 대한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다.
최근의 특징은 중국이 부채위기에 처한 국가들에 대한 지원이 크게 증가했다는 점이다. 2010년엔 해외대출 포트폴리오 가운데 채무위기 국가 지원은 5% 미만이었지만 2020년엔 이 비율이 60%까지 치솟았다.
이는 초기 '일대일로'가 대부분 인프라 투자였던데 비해 최근엔 금융지원이 주를 이룬다는 것을 뜻한다.
중국의 전체 구제금융 2400억 달러 가운데 1700억 달러는 중앙은행간 통화스와프 형태로 이뤄졌다. 나머지 700억 달러는 중국 국영은행과 기업들이 빌려준 것이다.
중국의 구제금융 비용은 싸지 않다. 중국의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5% 금리를 적용하는데 IMF 구제금융은 금리가 2%에 불과하다.
중국은 빌려준 돈을 떼이지 않기 위한 노력도 강화하고 있다. 최근의 금융대출은 중간소득 국가들로 확장되고 있으며, 저소득 국가들은 새로운 자금을 받는 대신 부채 구조조정을 받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