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대통령실과 외교부, 여당이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망언'에 대한 총공세를 지속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2일 오후 기자들과 만나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의 지난 8일 발언과 관련 "비엔나 협약 41조에서 외교관은 주재국의 법령을 존중하도록 규정하고 있다”며 “또 같은 조항에서 외교관은 주재국 내정에 개입해선 안 될 의무가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사라는 직책은 본국과 주재국의 가교와 소통 역할을 하는 것인데 내정간섭적 발언을 한 것은 용인할 수 없다는 것이다.

싱하이밍은 지난 8일 저녁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대사관저로 초청한 자리에서 "중한 관계가 어려움에 처한 책임은 중국에 있지 않다",  "한국의 대중국 무역적자 확대는 탈중국화가 주요 원인이다", "단언컨대 중국의 패배에 베팅하는 이들은 나중에 반드시 후회한다"등의 발언을 쏟아냈다.

이는 자유민주주의 가치를 앞세워 미국, 일본과 밀착 외교를 펼치고 있는 윤석열 정부를 정면으로 겨냥한 것이다.

이 발언 직후인 9일 외교부의 장호진 1차관은 싱하이밍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도발적 언행'이라고 규정하고 "내정간섭에 해당될 수 있다"고 비판하면서 강력한 유감을 표명했다.

장 차관은 "한중 우호의 정신에 역행하고 양국 간 오해와 불신을 조장하는 무책임한 것"이라면서 외교사절의 본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처신해야 하며 모든 결과는 본인의 책임이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여당도 싱 대사를 강도높게 비판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12일 열린 최고위원 회의에서 "당당한 주권 국가인 대한민국을 향해 중국에 대한 순응을 강요하고 콩고물을 얻으라는 식의 자세는 참을 수 없는 모욕", "마치 점령국의 현지 사령관 같은 무례를 범했다"는 등으로 비난 수위를 높였다.

싱 대사와 자리를 함께했던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 대해서는 " 중국 대사에게 우리나라 국내 정치에 관여하라고 멍석을 깔아준 행동은 그냥 넘어갈 수 없는 결정적 실책"이라며 어느나라 정치인이냐고 따졌다.

윤재옥 원내대표는 "외국의 대사가 주재국의 야당 대표를 불러내 놓고 언론매체 앞에서 주재국 정부에 대해서 비난을 쏟아내는 것은 국제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의 주재국을 무시하는 태도"라고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