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평균산업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3% 오른 3만5520.12로 장을 마쳤다. 13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1987년 1월 이후 가장 오랜기간 오름세다. 사진=서울와이어 DB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평균산업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3% 오른 3만5520.12로 장을 마쳤다. 13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1987년 1월 이후 가장 오랜기간 오름세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박성필 기자] 미국 뉴욕증시에서 주요 3대 지수가 혼조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예상대로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26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평균산업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23% 오른 3만5520.12로 장을 마쳤다. 13거래일 연속 상승으로 1987년 1월 이후 가장 오랜기간 오름세다.

반면 대형주 위주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02% 하락한 4566.75로,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종합지수도 0.12% 떨어진 1만4127.28로 거래를 마감했다.

미 연준은 25~26일 FOMC 정례회의를 통해 기준금리를 5.25~5.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2001년 1월 이후 22여년 만의 최고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정례회의 직후 기자회견에서 “추가적인 긴축정책이 필요할지는 아직 결정내리지 않았다”며 “6월 소비자물가(CPI)는 예상보다 긍정적이지만, 한달치 데이터뿐이다. 앞으로 더 봐야한다. 전체적인 그림을 살펴봐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유가는 미 금리인상에 따른 경기 악화와 예상에 못 미치는 미 원유재고 감소 등 영향으로 하락했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9월물 가격은 0.85달러(1.1%) 하락한 배럴당 78.78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국제금값은 달러 및 채권 수익률 하락에 상승했다. 이날 뉴욕상품거래소(COMEX)에서 금 현물 가격은 전날보다 0.5% 오른 온스당 1974.09달러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