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3% 올랐다.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 5.0%에서 올 1월 5.2%로 소폭 상승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 6월 2.7% 등 둔화세가 지속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 하락이 전체 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을 이끌었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25.9% 하락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85년 1월 이후 최대 감소 폭을 보였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1.8% 상승했다. 2021년 2월(1.7%) 이후 29개월 만에 1%로 하락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3.9% 올랐다. 지난해 4월(3.6%) 이후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도 지난 6월 3.5%에서 지난달 3.3%로 0.2%포인트(p) 떨어졌다.
다만 지난달 폭우 영향으로 채소류 등의 물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채소류 물가는 전월 대비 7.1% 올랐다.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는 상추와 시금치 등 잎채소류 변동 폭이 컸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서비스물가 상승률 등 둔화로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는 효과를 보였다”며 “이달부터는 기저효과가 거의 없거나 마이너스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 뉴욕증시, 예상된 금리 인상에 혼조 마감… 다우지수 13일 연속 상승세
- 러, 침공이후 첫 금리인상...눈덩이 전쟁비용·루블화 하락에 인플레 가속
- 맥주·막걸리값 부담 좀 덜어지나… 물가연동 주세 폐지 검토
- 생산자물가도 둔화… 뉴욕증시, 나흘 연속 상승세 '나스닥 1.58%↑'
- 한은 금통위 "물가 중점 두고 상당 기간 긴축 기조 유지"
- 한은, 기준금리 3.50%로 4연속 동결...한미금리차 1.75%P
- 원/달러 환율, 17원 내린 1272원선 출발 예상… 장중 하락세 전망
- 한은, 오늘 금통위 개최...기준금리 4연속 동결?
- 뉴욕증시, 소비자물가 둔화에 '환호'… 나스닥 1.15% 상승 마감
- 폭우에 시금치·상추 가격 2배 '껑충'… "폭염·태풍도 변수"
- 한은 "8월부터 물가 다시 높아져 연말까지 3% 안팎 등락"
- [날씨] 오늘도 36도 찜통 더위… 기상청 '야외활동' 자제 당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