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서울 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 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채소를 고르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물가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7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1.2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2.3% 올랐다. 2021년 6월(2.3%) 이후 2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물가상승률은 지난해 12월 5.0%에서 올 1월 5.2%로 소폭 상승한 뒤 2월 4.8%, 3월 4.2%, 4월 3.7%, 5월 3.3%, 6월 2.7% 등 둔화세가 지속하고 있다.

석유류 가격 하락이 전체 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을 이끌었다. 석유류는 1년 전보다 25.9% 하락하면서 관련 통계를 작성한 1985년 1월 이후 최대 감소 폭을 보였다.

구매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144개 품목으로 구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지난해보다 1.8% 상승했다. 2021년 2월(1.7%) 이후 29개월 만에 1%로 하락했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1년 전보다 3.9% 올랐다. 지난해 4월(3.6%) 이후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도 지난 6월 3.5%에서 지난달 3.3%로 0.2%포인트(p) 떨어졌다.

다만 지난달 폭우 영향으로 채소류 등의 물가가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다. 채소류 물가는 전월 대비 7.1% 올랐다. 날씨의 영향을 크게 받는 상추와 시금치 등 잎채소류 변동 폭이 컸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석유류를 포함한 공업제품, 서비스물가 상승률 등 둔화로 물가 상승률이 하락하는 효과를 보였다”며 “이달부터는 기저효과가 거의 없거나 마이너스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