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지난해 말 이후 5대 은행에서 1800명 넘는 직원이 자발적으로 짐을 싼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 희망퇴직 조건이 나빠지면서 퇴직자 수는 1년 전보다 다소 줄었지으나 희망퇴직자 1명당 평균 5억원대 퇴직금을 챙긴 것으로 추정된다.
4일 은행권에 따르면 지난달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4곳에서만 희망퇴직 형태로 모두 1496명이 은행을 떠났다.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하나은행에서 각각 674명, 234명, 226명이 퇴직했으며 모두 지난해 1월(713명·388명·279명)보다 퇴직자가 줄었다. 우리은행의 경우 지난달 31일 362명이 회사를 떠났다. 4대 은행 중 유일하게 지난해 1월(349명)보다 퇴직자 수가 늘었다.
농협은행까지 합하면 5대 은행에서 연말·연초 희망퇴직으로 회사를 떠난 직원은 1868명이다. 1년 전(2222명)과 비교하면 퇴직자 수가 354명(15.9%) 줄었다.
은행 희망퇴직자 수가 줄어든 건 올해 희망퇴직 조건이 나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5대 은행은 지난해 초 희망 퇴직금으로 근무 기간 등에 따라 최대 35∼36개월 치 급여를 지급했으나 올해에는 일제히 최대 31개월 치로 줄였다.
이자 장사로 벌어들인 돈으로 거액의 퇴직금을 준다는 비판적 여론을 의식한 것으로 보인다.다만 퇴직자들은 올해에도 평균 5억원, 많게는 10억원가량의 퇴직금을 챙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희망 퇴직금으로 4∼5개월 치 급여가 축소됐다고 해도 임금 인상 등을 고려하면 주요 은행의 1인당 평균 퇴직금은 5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은행별 반기보고서를 살펴보면 2022년 말에서 지난해 초 회사를 떠난 은행원 중 장기 근속자 등 일부는 법정 기본퇴직금과 특별퇴직금을 합해 10억원 이상을 받은 경우도 있었다.
하나은행의 퇴직금 상위 수령액 5명은 모두 10억원을 넘겼으며 국민은행과 신한은행, 우리은행의 퇴직금 수령액 상위 5명은 1인당 7억∼9억원가량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