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함께 환기의 중요성을 알리는 동시에 실내 공기질 관리 가이드라인을 만들기 위해 나선다. 환기 제품 인증제도 개발과 민감·취약 계층 이용시설의 실내 공기질 개선 사업도 공동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LG전자는 지난 13일 건설연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배정현 LG전자 SAC사업담당상무, 채상철 LG전자 에어솔루션마케팅담당 상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송태협 건축연구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업무협약은 환기의 필요성을 알리기 위한 협업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이뤄졌다.
LG전자와 건설연은 이를 바탕으로 ▲환기 제품 인증제도 개발 ▲환기 제품 성능 검증 및 통합관리 시스템 연구 ▲실내 공기질 관리 관련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기술 지원 ▲실내 공기질 관리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기술·정책적 공동 대응 등을 함께한다.
환기는 코로나 팬데믹 등을 계기로 실내 오염물질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며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추세다.
황사나 미세먼지 같은 외부 요인으로 자연 환기가 어려워지면서 창문을 열지 않아도 신선한 외부 공기로 집안을 환기할 수 있는 실내 환기 제품 시장도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시스템에어컨과 연동하면 실내 공기를 더 빠르고 쾌적하게 관리하는 가정용 프리미엄 환기시스템으로시장을 선도해 왔다.
이 제품은 미세먼지, 유해세균 등으로 인해 오염된 실내 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필터를 거친 깨끗한 외부 공기를 집안으로 공급한다.
정부 출연 연구기관인 건설연은 지난해 환경부가 선정하는 ‘실내환경관리센터’로 최초 지정됐다. 정부는 공기질이 중요한 다양한 시설에서 실내 공기질이 적절하게 관리되도록 전문가 진단을 비롯해 측정 기기, 공기 순환기, 제습기 등을 지원하는 사업 등을 한다.
실내환경관리센터는 실내 공기질 관리의 질적 향상을 위한 측정기기나 정책 지원을 위한 연구를 수행하는 한편 취약계층 이용시설에서 공기질 관리 및 개선지원 사업도 진행 중이다.
LG전자와 건설연은 민감·취약 계층을 대상으로 한 실내 공기질 개선 사업도 공동 추진하고 실내 공기질 관리의 전문성을 살려 협업도 진행할 계획이다.
앞서 (주)LG는 2019년 정부 당국과 협의를 통해 공기정화 시설이 부족했던 전국 433개 초·중·고등학교에 공기청정기 1만100대를 지원한 바 있다. 또 전국 262개 아동복지생활시설에 공기청정기 3100대를 지원하는 등 취약 계층을 위한 실내 공기질 개선에 적극 힘써왔다.
이재성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 부사장은 “환기의 필요성을 널리 알리고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시함으로써,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고 관련 제도 개선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조주완 LG전자 사장, 美 AI 인재확보 총력… "나보다 고연봉 약속"
- LG전자, 무선청소기 폐배터리 재활용 캠페인 전개… "순환경제 전환 앞장"
- LG전자, 가정의달 맞아 임직원 가족 초청 다양한 행사 마련
- LG전자, 김환기 작품 올레드 에보에 담아 '프리즈 뉴욕'서 선봬
- LG전자 올레드 에보, 미·영 매체서 호평 잇달아… "OLED시대 변화 주도"
- 에어프레미아, 글로벌트래블러 선정 베스트 프리미엄 이코노미 top5
- 김병훈 LG전자 CTO, 발명의 날 '금탑산업훈장' 수상 영예
- LG전자, 인도서 B2B사업 확대… 현지 에듀테크시장 공략 속도
- LG전자, 브랜드 가치 54.5% 껑충…톱5 브랜드 가치 154.4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