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랜 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서울와이어 서동민 기자] LG유플러스는 국립금오공과대학와 함께 오픈랜(Open RAN) 관련 개방화, 가상화, 지능화 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미래 오픈랜 상용화에 앞서 생태계 조성을 앞당기기 위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오픈랜 실증단지 조성사업의 일환'이며, 앞서 LG유플러스는 2020년 5G 정부업무망 모바일화 실증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이 있는 금오공대의 손을 다시 잡았다.
무선접속망 구성 장비를 표준화해 다수의 장비제조사에 개방하는 오픈랜은 네트워크 생태계에 혁신을 가져올 중요 기술로 자리잡고 있으며, 향후 5G 어드밴스드, 그리고 6G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간 LG유플러스는 오픈랜 관련 주요 기술인 ▲개방형 프론트홀 ▲클라우드랜(Cloud RAN) ▲무선접속망 지능형 컨트롤러(RIC) 등을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실증해왔다. LG유플러스는 금오공대와 오픈랜 기술 연구를 강화해, 네트워크 구축시 효율성과 유연성을 확보하고, 관련 생태계에 다양한 기술혁신을 유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양측은 산학협력 연구 수행과 인력양성을 위한 협력 교류 활동을 통해 산학 협력 모델을 구축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양측은 서울시 강서구 LG사이언스파크에서 오픈랜 기술 업무협약식을 진행하고 적극 협력을 다짐했다.
이상헌 LG유플러스 네트워크선행개발담당)은 "당사는 LTE, 5G의 성공 경험을 6G에서도 이어가기 위해 기반기술의 연구와 실증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며, "다양한 장비사, 금오공대와 같은 학계와의 협력을 강화해 6G 리더십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 LG유플러스, U+tv에 AI 적용…초개인화 서비스 제공
- LG유플러스, 美 실리콘밸리서 AI 인재 채용 행사
- [메타센서] ㈜LG, LG전자·화학 지분 높이는 이유는
- LG유플러스, 캐릭터 본고장 日서 ‘무너’ 팝업스토어 연다
- LG유플러스, 유튜브 프리미엄+넷플릭스 결합 상품 출시…월 1만5900원
- LG유플러스, 디지털고객경험지수 평가서 이동통신 부문 1위
- LG유플러스 AI 마음관리 플랫폼 ‘답다’, 가입자 5만명 돌파
- LG유플러스, 추석 연휴 대비 네트워크 품질 점검
- LG유플러스, 협력사와 상생…추석 앞두고 납품 대금 조기 지급
- 제2의 카카오 먹통 없어야…유상임 장관 SK C&C 데이터센터 현장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