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시장서 제품 경쟁력 입증⋯"압도적 성과 보여"

[서울와이어 정윤식 기자] 셀트리온의 유방암, 위암 치료제 ‘허쥬마(성분명 트라스투주맙)’가 일본에서 올해 11월 기준 점유율 74%를 기록했다고 26일 밝혔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허쥬마는 2021년 2분기에 처음으로 점유율에서 오리지널 제품을 넘어선 이후 3년 연속 선두를 지키고 있다. 또한 현재 70%가 넘는 점유율로 경쟁 제품들과의 격차를 벌려가는 상황이다.
해당 배경으로 셀트리온은 2019년 8월 일본 유방암 시장에서 90% 이상을 차지하는 3주 요법 허가를 획득 등을 통해 제품 경쟁력을 입증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제도 환경, 현지 의약품 시장을 분석한 맞춤형 판매 전략 등이 종합적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일본에서 암은 바이오시밀러 우호 정책으로 분류되는 일본식 포괄수가제 ‘DPC(Diagnosis Procedure Combination)’ 제도에 포함된 대표 질환군이다. DPC 제도에서 의료비는 일본 정부가 결정하며 병원 입장에서는 저렴한 의약품의 처방이 절감된 비용만큼 수익을 얻을 수 있어 더 유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셀트리온 일본 법인은 우호 정책을 기반으로 의약품 처방에 영향력이 높은 주요 이해관계자(KOL)들의 처방 선호도 증대 및 네트워크 강화를 이끄는 데 주력해 왔다고 강조했다.
셀트리온에 따르면 현지 법인과 유통 파트너사가 제품을 각각 판매하는 영업 전략도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회사별로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유통 채널이 상이한 만큼 각 사에서 개별적으로 마케팅 활동에 집중한 결과 영업 효과가 극대화됐다는 것이다.
앞선 전략을 기반으로 항암제 제품인 전이성 직결장암, 유방암 치료제 ‘베그젤마(성분명 베바시주맙)’도 올 11월 기준 전년 동월 대비 3배 가량 대폭 오른 23%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셀트리온의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성분명 인플릭시맙)’는 현지 맞춤형 판매 전략에 힘입어 39%의 점유율로 바이오시밀러 처방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유플라이마(성분명 아달리무맙)’도 1년여 만에 8%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바이오시밀러 처방 1위 자리를 차지했다.
셀트리온은 기존 제품들의 판매 성과를 바탕으로 후속 제품들 역시 일본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킨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일본에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항암제에 이어 알레르기 질환, 안 질환, 골 질환 등 신규 영역으로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경쟁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아시아 주요 시장인 일본에서 셀트리온만의 제품 경쟁력과 차별화된 영업 전략, 우호적인 제도 기반 등이 더해지면서 허쥬마를 비롯해 출시된 모든 제품들이 시장 공략에 순항하며 압도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일본에 출시될 후속 제품들 역시 유의미한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판매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주' 국내 품목허가 획득
- 셀트리온,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스테키마' 美 허가 획득
- 셀트리온, CDMO 법인 설립…서정진 "2031년 3조원 매출"
-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4종 유럽 허가권고 획득
- 동남아에 힘주는 셀트리온, 김형기 부회장 베트남서 협력 방안 논의
- 셀트리온, 다잘렉스 바이오시밀러 'CT-P44' 美 3상 승인
- [제약바이오 핫클릭] 셀트리온 이탈리아 매출 9400만 유로⋯전년比 27%↑
- 셀트리온, 자사주 1000억원 추가 매입 결정
- 셀트리온, 美 자진취하 제네릭 2종 승인 유지⋯'투트랙' 전략 강화
- 셀트리온, 스테키마 PBAC 급여 권고 획득⋯호주 공략 ‘박차’
- 셀트리온, 'JP모건 헬스케어'서 신약개발 전략 공개
- 셀트리온, JP모건 헬스케어서 '차세대 신약 비전' 공개
- 셀트리온, 日 바이오시밀러 시장 공략 확대⋯올해 4개 제품 출원 목표
- '장벽 낮아진 日 공략'⋯삼성에피스·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격돌 예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