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지방증 유병률 개선 확인⋯부가적 이점 가능성

정창희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사진 왼쪽)가 참관객에게 연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사진=대웅제약)
정창희 서울아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사진 왼쪽)가 참관객에게 연구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사진=대웅제약)

[서울와이어 정윤식 기자] 대웅제약은 지난 11일 스페인 말라가에서 열린 '2025 유럽비만학회(ECO)'에서 SGLT-2 억제제 계열 2형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의 간 내 지방증 지표 개선을 확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29일 밝혔다.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이 지방간 질환을 동반하는 사례는 국내외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대웅제약이 엔블로 임상시험 3건을 분석한 결과 시험에 참여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약 50%가 연구 시작 시점에 지방간을 동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총 554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3건의 엔블로 3상 임상시험 데이터를 활용해 엔블로의 간 지방증 지표 개선 효과를 통합 분석했다.

그 결과 엔블로 0.3㎎을 24주간 매일 복용한 환자들은 간 지방증 지수(HSI) 및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FSI)로 평가한 지방간 유병률이 기저 대비 각각 32%·25% 감소해 엔블로가 간 지방증 유병률을 폭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엔블로 투약군은 위약대조 연구에서 간 지방증 지수를 기준으로 본 지방간 유병률이 48.0%에서 16.0%로, 프레이밍햄 지방증 지수로 평가한 지방간 유병률은 41.3%에서 16.0%로 각각 감소했다. 또한 위약군 대비해 평균 점수가 각각 -3.72(p<0.0001), -1.16(p=0.0006)으로 개선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동일 계열인 다파글리플로진(dapagliflozin)과의 비교에서도 엔블로는 간 지방증 지수 평균값이 1.02(p=0.0257)점 낮은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대웅제약에 따르면 이번 연구 결과는 2형 당뇨병 환자의 대사이상 관련 지방간질환(MASLD) 유병률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엔블로가 간 지방 축적 감소와 같은 부가적인 이점을 제공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2형 당뇨병 치료뿐 아니라 흔히 동반되는 지방간 질환 개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는 것이다.

박형철 대웅제약 ETC마케팅본부장은 “간 내 지방증을 동반한 2형 당뇨병 환자들을 위한 치료 옵션으로서 엔블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는 뜻 깊은 연구 결과를 발표하게 돼 기쁘다“며 “엔블로가 2형 당뇨병을 넘어 복합대사질환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