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서동민 기자]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본격적인 제도화의 기로에 선 가운데, 장현국 넥써쓰(NEXUS) 대표는 규제의 본질과 생존 조건을 짚으며 “준비된 자만이 기회를 얻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장 대표는 20일 X(구 트위터)를 통해 “규제란 합법과 비합법을 가르는 법적 필터링 장치”라며 “규제를 충족한 프로젝트와 코인은 제도권 진입이라는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되지만, 그렇지 못한 프로젝트는 더 이상 회색지대에 머무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각국이 스테이블코인을 우선적으로 규제 대상으로 삼는 이유에 대해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자산 중 가장 직관적이며 필수적인 성격을 띠기 때문”이라며 “모든 상황에서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는 특성상, 가장 엄격한 규제를 받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생존 가능한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 기반 담보 구조를 갖춰야 하며, 해킹 방지 조치, 자산 동결·몰수 기능, 블랙리스트 등록, 자금세탁방지(AML) 요건 등 강력한 통제 시스템을 함께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는 “마약, 도박 등 불법 활동에 악용되지 않도록 철저한 사전 차단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한 프로젝트는 역사의 배경으로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장 대표는 이러한 흐름이 기술이 산업화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정화 과정이라고 진단하며, 구조적 준비가 된 프로젝트만이 제도화 국면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화폐나 기타 자산을 기준으로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디지털 자산이다. 미 달러, 유로화 등과 고정 환율을 유지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며,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KRWx) 도입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로, 최근 정치권에서도 관련 법안 논의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 장현국 넥써쓰 대표 "스테이블코인 생존, 고유 생태계 확보에 달렸다"
- 넥써쓰, 블록체인 게임 4종 온보딩 계약 체결
- 넥써쓰, 스테이블코인 발행 공식화… '국내 1호' 노린다
- 장현국 넥써쓰 대표, 에이셔와 맞손… “미래 게임의 핵심은 AI·블록체인”
- 넥써쓰, 日 리듬 게임 전문 개발사 '엔티엔트' 투자
- 이재명 대통령 "SNS 외교 메시지에 상대국 언어 병기하라"
- 李대통령-여야 지도부 오찬 회동 종료… 국정 현안 논의
- 넥써쓰, 크레이지마인드와 '던전앤브레이커' 온보딩 계약 체결
- "우리가 만든다"…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주도권 쟁탈전
-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본격화… 넥써쓰, 179종 네이밍 선점 승부수
- '크로쓰', 글로벌 첫 상장… 비트겟 통해 7월4일 거래 시작
- [CEO투데이] 장현국 넥써쓰 대표, 디지털 기축통화 판 짠다
- 장현국 넥써쓰 대표의 블록체인 재무 전략… "BTC와 스테이블코인 반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