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인바이츠 로고.(사진=CG인바이츠)
CG인바이츠 로고.(사진=CG인바이츠)

[서울와이어=정윤식 기자] CG인바이츠는 자사 AI 기반 신생항원 예측 알고리즘(imNEO)을 활용한 폐암 동물모델 전임상 실험에서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데 성공하며, 자사의 플랫폼 기술력이 대장암을 넘어 다양한 암종으로 확장 가능한 경쟁력 있는 기술임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고 12일 밝혔다.

큐로셀에 따르면 이번 전임상은 폐암 마우스 모델(LL/2)에서 총 24개의 신생항원 펩타이드를 평가한 결과, 약 63%의 항원이 CD4⁺ 또는 CD8⁺ T세포 반응을 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절반 이상은 두 면역세포에 동시 반응하는 중복(epitope overlap) 항원으로, 면역원성이 매우 우수한 후보물질임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또한 면역세포 활성화 및 확산의 시간적 패턴 분석, 항체 생성능, 내부 사이토카인 발현 등을 종합한 결과, CG인바이츠의 imNEO 알고리즘이 폐암 모델에서도 체액성·세포성 면역반응을 모두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향후 mRNA 기반 개인맞춤형 항암백신의 적응증을 다양한 고형암으로 확대할 수 있는 근거로 작용할 전망이라는 설명이다.

CG인바이츠는 이번 폐암 모델 전임상 결과가 지난 8월 발표된 대장암 모델 전임상에 이은 성과라고 밝혔다. 당시에도 CG인바이츠는 글로벌 선두 기업 대비 약 2배 높은 종양 성장 억제 효과를 기록하며 업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고 덧붙였다.

CG인바이츠는 AI 기반 항암백신 개발의 두 핵심 관건인 ▲정확한 신생항원 선별(imNEO) ▲강력하고 일관된 발현 효율을 가진 mRNA 서열 생성(imRNA) 알고리즘을 모두 자체 개발했다.

또한 2027년 임상 진입을 목표로 전임상 패키지를 빠르게 고도화하고 있으며, 암종별 모델 실험을 연이어 진행 중이다. 폐암에 이어 간암, 췌장암, 난소암 등의 고형암 확장을 통해 개인맞춤형 항암백신 시장에서 글로벌 선도 플랫폼 으로 도약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