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풍 석포제련소 전경. 사진=연합뉴스
영풍 석포제련소 전경.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한 영풍 석포제련소의 토양 오염 수준이 과거 환경문제로 폐쇄됐던 장항제련소보다 심각하다는 지적이 국정감사 과정에서 제기됐다. 일부 의원은 제련소의 환경법 위반이 반복되는 만큼 실질적인 정화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형동 국민의힘 의원은 지난 14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영풍 석포제련소 인근 토양의 카드뮴 농도가 1㎏당 403㎎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이는 과거 장항제련소 인근 토양의 카드뮴 농도(1㎏당 9㎎)보다 약 45배 높은 수준이다. 카드뮴은 인체에 장기간 축적될 경우 이타이이타이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중금속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은 “장항제련소는 중금속 오염으로 이미 폐쇄돼 정화 작업이 진행 중인데 석포제련소 인근의 카드뮴 수치가 훨씬 높게 나타났다”며 “낙동강 상류의 오염원 관리에 보다 엄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영풍 석포제련소는 2014년부터 올해까지 환경 관련 법령 위반이 103건에 달하며 누적 조업정지 일수는 90일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석포제련소의 통합환경허가조건 이행률이 낮다”며 “1·2공장 토양정화 이행률은 약 5%, 외부 하천부지 정화 이행률은 거의 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올해 말까지로 정해진 토양정화 명령 이행 시한을 또 지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환경 개선이 지연되는 상황에서 정치권 일각에서는 제련소의 폐쇄나 이전 필요성을 포함해 종합감사에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특히 영풍그룹 경영진의 직접적인 입장 표명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김 의원은 “이번 사안에 대해 영풍그룹 장형진 고문이 보고받아야 한다”며 “종합감사에서 직접 입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종합감사 증인 출석 여부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석포제련소를 운영하는 영풍그룹이 상당한 자산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오염 정화 등 환경개선 속도가 더디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그룹은 주요 지역 일대에 토지와 건물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 주식과 자산 가치를 합산할 경우 수조 원대에 달한다는 분석도 나온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