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투자수요 확대 속 자본 흐름 재정비 요구 확산
기업 자본조달 구조 개편 촉발하는 현장 문제의식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사진=연합뉴스
대한상공회의소 건물.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산업계가 금융당국에 인공지능(AI) 등 미래산업의 자본 조달 난제를 해소할 구체적 해법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첨단 분야로 자금이 이동해야 하나 제도적 뒷받침이 부족하다는 판단에서다.

대한상공회의소는 25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을 초청해 금융산업위원회 제44차 전체회의를 열었다. 권 부위원장은 ‘생산적 금융으로의 대전환’을 주제로 강연하며 금융위가 추진 중인 정책금융·민간금융·자본시장 3대 축, 9개 과제를 소개했다.

권 부위원장은 “금융의 흐름을 부동산 중심에서 혁신·첨단·벤처 산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예금 중심의 자금이 자본시장 투자로, 수도권에 집중된 금융이 지방으로 이동하는 구조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 금융 시스템이 담보·부동산 편중에 머무를 수 없다고 지적하며 성장산업을 향한 ‘생산적 금융’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번 회의에는 금융산업위원회 소속사 뿐 아니라 주요 그룹 경영진이 폭넓게 참여했다. 진옥동 대한상의 금융산업위원장(신한금융지주 회장)을 비롯해 김신 SKS PE 부회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오태균 한국투자금융지주 사장, 최승훈 삼성전자 부사장, 김기동 SK 부사장, 김동욱 현대자동차 부사장, 양원준 포스코홀딩스 부사장, 신용인 한화 부사장 등 약 40명이 참석했다.

참석 기업들은 미래산업을 키우기 위해 금융권의 역할이 더욱 적극적이어야 한다고 주문했다. 특히 자본시장에서의 투자 활성화를 위해 배당세 분리과세, 장기보유 주식에 대한 세제 혜택 등을 서둘러 도입해 달라고 건의했다. 

또한 비상장주식의 은행 위험가중치(RWA)가 400%에서 250%로 낮아졌지만 기업대출 RWA는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며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진옥동 위원장은 “생산적 금융은 기존 금융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핵심 키워드”라며 “금융이 미래산업을 뒷받침할 때 한국 금융의 위상 역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