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경절 연휴를 앞둔 가운데 지분 매각 발표
추가 비핵심 자산을 처분해 자금확보 위한 행보
중국정부, 헝다사태 관련 입장 밝히지 않는 상황

최근 채무불이행 위기에 고난을 겪는 헝다가 자회사 보유 중국 성징은행 지분을 매각한다. 채권이자 지급 등 유동성 위기를 넘길 수 있을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최근 채무불이행 위기에 고난을 겪는 헝다가 자회사 보유 중국 성징은행 지분을 매각한다. 채권이자 지급 등 유동성 위기를 넘길 수 있을 전망이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29일 부동산 개발업체 헝다(恒大·에버그란데)에 따르면 자회사 보유 중국 성징은행(盛京銀行) 지분 19.93%를 매각한다.  헝다는 최근 채무불이행(디폴트) 위기에 몰려 고난을 겪는 상황이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성징은행 시총은 615.77억 홍콩달러(약 9조4000억원)로, 이번 매각절차가 완료되면 헝다는 약 1조8000억원 규모 자금을 확보하게 된다. 이에 채권이자 지급 등 당장 급한 유동성 위기를 넘길 수는 있을 전망이다.

이번 발표는 중국의 내달 1~7일까지 장기간 이어질 국경절 연휴를 앞둔 가운데 나왔다. 시장에서는 헝다가 추가로 비핵심 자산을 처분해 자금을 확보하려 할 것으로 예상했다.

헝다 측은 비핵심 계열사 중 규모가 큰 전기차 자회사인 헝다자동차를 샤오미 등 다른 회사에 넘기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헝다가 결국 일부 채권의 공식 디폴트를 선언하고, 핵심인 부동산사업 전체·일부분을 당국의 통제하에 있는 국유기업에 넘기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됐다.

중국정부는 아직 사태를 지켜보는 상황이다. 적극적으로 개입할지, 헝다를 파산하게 내버려 둘 것인가에 대해서는 명확한 태도를 보이지 않는다. 다만 헝다 채무위기가 중국경제 불안요인으로 떠올라, 경제안정을 위해 질서 있는 파산을 유도하려고 한다는 관측이 나온다.

시진핑 국가 주석의 경제 책사인 류허 국무원 부총리는 지난 26일 저장성 항저우(杭州)시 우전(烏鎭)에서 개막한 세계인터넷대회 축사에서 “중국 거시경제는 전체적으로 안정됐다”며 “위험을 관리하고 통제해본 경험과 그럴 수 있는 능력을 갖춰 발전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