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 12년 8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
밀가루 가격 올라 과자·국수 오름세
외식물가도 올라 서민체감물가 급등

통계청에 따르면 1년 새 라면 값이 크게 올라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와이어DB
통계청에 따르면 1년 새 라면 값이 크게 올라 장바구니 물가에 부담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서울와이어DB

[서울와이어 송수연 기자] 서민음식의 대명사 ‘라면’이 13년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가격이 올랐다. 이에 따라 장바구니 물가 부담은 더욱 가중됐다. 

7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0월 가공식품 소비자물가지수가 109.89(2015년=100)로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상승 폭은 지난 2014년 11월(3.3%) 이후 6년 11개월 만에 가장 컸다.

품목별로 라면은 1년 새 11.0% 올라 2009년 2월(14.3%) 이후 12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오뚜기, 농심, 삼양식품, 팔도 등 대표 라면업체들이 밀가루, 팜유 등 원재료 상승을 이유로 8월부터 출고가를 잇달아 인상한 것이 반영됐다.

밀가루 가격 인상은 국수 가격에도 영향을 미쳐 19.4% 올랐다. 비스킷과 파스타면, 빵, 스낵과자는 각각 6.4%, 6.0%, 1.9% 씩 올랐다. 이들 제품 가격이 상승할 여지는 더 있다. 국제 곡물 가격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에 따르면 곡물가격지수는 캐나다‧러시아‧미국 등 주요 밀 수출국 수확량 감소로 전월 대비 3.2% 상승한 137.1포인트(2014~2016년 평균=100)까지 올랐다.

돌아온 김장철에 소금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최근 소금 가격은 석달 연속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8월은 14.6%, 9월은 18.9%, 10월은 23.9%로다. 이외 막걸리는 17.5% 상승했고 식용류는 12.3% 올랐다. 고추장(8.3%)과 물엿(8.0%), 식초(6.2%), 설탕(6.0%), 참기름(4.8%) 가격도 올랐다. 음료인 우유(4.3%), 주스(3.9%)도 오름세를 보였따.

외식물가지수도 1년 전보다 3.2% 상승한 115.10(2015년=100)으로 집계됐다. 품목별로는 생선회가 8.8%, 죽 7.6%, 막걸리 7.4%, 갈비탕 6.5% 순으로 올랐다.

서민 체감 물가와 직결되는 생활물가지수는 지난달 4.6% 급등했다. 이는 2011년 8월(5.2%) 이후 10년 2개말 만의 최대 폭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