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ℓ 당 1만원 안팎 요소수 거래가격 10만원대까지 올라
화물차 운송 차질 땐 물류 전반 마비...산업계 비상

국내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화물업계 등 요소수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유록스 홈페이지
국내 요소수 품귀현상으로 화물업계 등 요소수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사진=유록스 홈페이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중국발 요소수 대란 여파가 국내 곳곳으로 확산하는 모습이다. 요소수 부족이 장기화할 경우 물류대란이 불가피해졌다.  

요소수는 경유(디젤) 차량에 들어가는 필수 품목으로, 발암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정화하는 저감장치(SCR)에 들어간다. 지난 2015년부터 모든 디젤차에 SCR 장착이 의무화돼 요소수가 없으면 운행할 수 없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디젤 화물차 330만대 가운데 200만대가 SCR 장치가 장착됐다. 전체 60% 수준으로 요소수를 넣지 않으면 정상 운행이 불가능하다. 화물차뿐만 아니라 버스, 지게차, 포크레인, 레미콘, 소방차 등 요소수 부족으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요소수 부족 사태로 이미 지난달부터 운행에 차질을 빚는 화물차주들이 늘었다. 현재 주유소와 대리점, 온라인 매장에서 1만원 안팎에 거래되던 10리터(ℓ) 기준 요소수 가격은 10만원까지 오르는 등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중국에서 자국 수요 부족을 이유로 수출 제한 조치까지 더해져 품귀 현상이 빚어지는 상황이다. 이는 단순 화물차주뿐 아니라 산업계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다. 

산업 물류의 운송을 책임지는 화물차가 멈출 경우 산업계 미치는 파급력도 상당하다. 이외에도 요소수는 제철소나 발전소, 소각장, 석유화학이나 시멘트 공장의 일부 공정에 사용된다. 총체적 난국인 셈이다. 

정부도 문제 해결을 위해 산업용 요소수 전환 카드까지 빼 들었다. 산업부는 산업용 요소수를 차량용으로 전환해 급한 불을 끄겠다는 구상이다. 이에 산업 분야의 대기 배출 규제를 완화하는 방안을 환경부와 협의할 예정으로 이르면 다음 주 차량용 전환을 계획 중이다.

인터넷상에서는 급하게 요소수를 구하려는 문의가 빗발침에 따라 1인당 구매 개수를 한정했다. 정부도 차량용 요소수 매점매석 행위 근절에 나섰다. 물가안정법에 근거한 차량용 요소수 매점매석행위 금지 등에 관한 고시를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환경부·공정위·국세청·관세청 등 관계부처는 합동단속반을 구성해 매점매석 행위 적발 시 엄정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중국과 협의를 통한 수출 재개, 수입 대체와 통관 지원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공급 활로를 모색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