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2030년부터 평균 1.1%대 아래로 떨어질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우리나라의 1인당 잠재 국내 총생산률(GDP)이 2030∼2060년에 0%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8일 OECD에 따르면 2060년까지의 재정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2030∼2060년까지 국내 1인당 잠재 GDP 성장률은 연간 0.8%로 예상했다.
잠재성장률은 잠재 GDP의 증가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잠재 GDP는 한 나라가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수준을 의미한다.
OECD는 우리나라 1인당 잠재 GDP 성장률은 지난 2007년까지 연간 3.8%에서 2007∼2020년 사이에는 2.8%, 2030년까지 1.9% 등 2030년~2060년에는 0.8% 까지 지속적으로 떨어질 것으로 내대봤다.
이에 2030년까지는 OECD 평균(1.3%)보다 높은 성장률을 보이지만, 2030년부터 2060년까지 OECD 평균(1.1%) 아래로 떨어지면서 38개국 가운데 최하위권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아울러 우리나라가 속하는 주요 20개국(G20) 선진국 그룹 평균(1.0%)보다도 낮은 수준으로 이 시기에 미국과 일본의 1인당 잠재 GDP 성장률은 각각 1.0%, 1.1%로 우리나라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잠재성장률이 하락세를 보이는 것은 저출산과 고령화로 생산인구 감소 문제 등이 이유로 분석된다.
OECD는 이와 관련 “성장세 변화는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생산성 향상 둔화에 따라 하락해 왔다”며 “정책 변화가 없을 경우 수십 년간 계속 약화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