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데이터 공유, 원인 규명에 시간 소요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애플의 아이폰13 수신 불량 사태가 국내 AS 서비스 불만으로 이어지고 있다. 사태 발생 2달이 지난 뒤에야 상황을 주시 중이라는 입장을 내놓았으며 해결책 마련까지는 시간이 더 걸릴 전망이다.
지난 8일 애플은 아이폰13의 수신불량 문제를 두고 “우리의 고객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LG유플러스의 일부 고객에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 이슈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는 수신 불량 문제를 살피겠다는 정부 입장까지 나오자 마지못해 나선 모습이었다.
현재 수신 불량 문제는 LG유플러스 망을 사용하는 아이폰 13 유저 위주로 일어난다. SK텔레콤과 KT 등 사용자 중에서는 공식적으로는 관련 민원 접수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의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다. 애플이 지난달 17일 운영체제인 iOS 업데이트 버전을 배포했으나 상황은 마찬가지다.
통신사와 제조사 간의 책임 떠넘기기도 문제가 된다. LG유플러스는 단말기 문제라는 입장이며 애플은 입장 발표 당시 “LG유플러스의 일부고객”이라고 피해 범위를 국한했다. 소비자 불만이 커져 소송으로 이어질 경우 책임 소재를 서로에게 떠넘기겠다는 속셈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관계사에서 제공한 대응 조치는 LG유플러스의 아이폰 12 무료 임대 조치와 애플의 iOS 업데이트 등이다. 추가로 LG유플러스는 애플에 로그 데이터를 보내 공동조사를 요구했다. 조사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면 상황 복구까지 시간이 더 걸린다는 분석이다.
추가 방안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자 정부도 사태 수습에 나서는 모양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은 상황 파악에 나섰다. 방통위는 기술적 이슈를 위주로 접근한다는 계획이며 과기부 등 관계 부처의 협조를 받을 예정이다.
임혜숙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용자 피해 현황 파악이 우선”이라며 “아이폰의 기술적 문제나 결함 여부도 정확히 파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