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단독주택 밀집된 지역, 사업성 낮아 추진 지연된 곳
인공지능(AI) 기반 3D설계기법 활용해 용적률 271% 확보

LH가 망우1구역 공동사업시행자로 선정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LH가 망우1구역 공동사업시행자로 선정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망우1구역 조합과 사업시행 약정을 체결하면서 사업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LH는 공공재건축 1호 사업지인 서울 중랑구 망우1구역 조합과 공동사업시행 약정을 체결했다. 해당 지역은 주민설명회 이후 한달 만인 올 7월 주민동의율 74%를 확보했다. 이어 지난 2일에는 조합 임시총회를 거쳐 LH를 공동사업시행자로 지정했다.

이번 약정을 통해 LH와 조합은 각 당사자의 책임과 역할, 사업단계별 업무분담, 사업비의 조달관리 등 세부사항을 설정했다. 망우1구역은 1983년 준공 이후 38년이 된 망우염광아파트와 노후 단독주택들이 밀집한 사업지다. 주민들의 재건축 의지가 강했으나 낮은 사업성으로 인해 사업추진이 지연된 곳이다.

망우1구역은 공공재건축으로 사업을 전환해 인센티브를 적용받는다. 2종(7층이하) 일반주거지역에서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용도지역이 상향됐다. 사업 추진의 난제였던 단지 북측의 학교 일조권 제한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인공지능(AI)를 활용한 3D 설계기법을 도입해 추가적인 용적률도 확보했다.

용적률은 민간재건축 대비 용적률이 66%포인트(p) 증가한 271%를 달성했고 세대수 역시 기존 대비 1.8배 많은 481가구를 건설할 수 있게 됐다. LH는 망우1구역에 대해 공공재건축 인센티브를 반영한 정비계획 변경과 시공사 선정에 조속히 착수할 방침이다.

오주헌 LH 수도권주택공급특별본부장은 “이번 약정은 공공재건축 사업에서 첫 번째로 이뤄낸 성과라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정비계획 변경과 시공자 선정 등 신속한 사업추진을 위해 주민들과 긴밀히 협의하고, 추가 후보지 확보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