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릭시맙 바이오베터 '램시마SC' 유효성 재확인
램시마IV와 램시마SC, 각각 장점으로 시너지 기대

지난 2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류머티즘학회의 '인플릭시맙, IV(정맥주사)에서 SC로 새로운 기회될 것인가’ 주제 학술심포지엄에서 램시마SC 치료 유효성을 재확인할 수 있는 임상 3상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지난 2일(현지시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유럽류머티즘학회의 '인플릭시맙, IV(정맥주사)에서 SC로 새로운 기회될 것인가’ 주제 학술심포지엄에서 램시마SC 치료 유효성을 재확인할 수 있는 임상 3상 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셀트리온그룹 제공

[서울와이어 김경원 기자] 셀트리온이 개발한 세계 최초의 인플릭시맙 피하주사(SC)제형 바이오베터 '램시마SC'가 2022 유럽류머티즘학회(EULAR)에서 치료 유효성을 재확인 받음에 따라, 유럽시장에서 판매 확대가 가속화될 것으로 점쳐진다.

램시마SC는 TNF-α(종양괴사인자)억제제시장에서 폭넓게 쓰이는 인플릭시맙을 SC제형으로 개발한 바이오베터 제품으로, 전 세계 130여개국에서 제형과 투여법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해 약 20년간 독점적 지위를 확보한 상태다.  

셀트리온그룹은 지난 2일(현지시간) 유럽류머티즘학회에서 '인플릭시맙, IV(정맥주사)에서 SC로 새로운 기회될 것인가’ 주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심포지엄에서 램시마SC를 처방한 환자군은 램시마IV 처방 환자군과 비교해 약물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결과에서 비열등성하고 치료에서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램시마SC 임상 3상 결과가 발표됐다. 
 
유럽류머티즘학회는 최고 권위의 류머티즘 질환 분야의 학회 중 하나로, 관련 최신 임상 연구와 치료제 개발 동향 등을 발표한다. 올해 학회는 6월1일부터 4일까지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폴 에머리 영국 리즈대학 교수는 “램시마SC는 인플릭시맙 최초의 SC제형으로 자가면역질환치료제시장에서 새로운 치료 옵션으로 부상해 유럽 의료계가 주목한다”며 “이번 학회에서 증명된 임상 데이터를 통해 램시마SC가 바이오베터로서의 가치를 증명했고, 보다 많은 환자에게 의료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램시마SC는 최근 유럽에서 빠른 투약 효과와 제형의 편리성을 강점으로 처방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램시마SC는 이번 유럽류머티즘학회를 비롯해 다수의 글로벌 유수의 학회를 통해 제형 변경과 성능 개선을 통한 바이오베터로서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며 “유럽시장에서 램시마IV가 오리지널제품의 점유율을 상회하고 , 램시마SC도 전문가들의 호평 속에서 판매량 증가세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한다. 두가지 제형의 램시마는 각각의 장점을 앞세워 앞으로도 꾸준한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램시마SC의 유럽시장에서 성장과 더불어 2023년 램시마SC의 미국시장 상업화를 목표로 현재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셀트리온그룹 관계자는 "램시마의 미국시장 점유율 확대와 유럽시장의 성장 트랙을 바탕으로 추후 램시마SC로 스위칭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