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니셜로 디지털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DID 로그인 서비스

SKT가 블록체인 기반 DID 서비스 이니셜의 디지털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서비스를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SKT 제공
SKT가 블록체인 기반 DID 서비스 이니셜의 디지털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서비스를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사진=SKT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SK텔레콤(SKT)이 자사 블록체인 기반 분산식별자(DID)서비스인 이니셜에 디지털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서비스를 적용했다고 16일 밝혔다.

디지털혁신공유대학 교육과정 수강생은 이니셜 앱으로 학생증을 대체한다. 학생증으로 디지털혁신공유대학 포털과 각 참여대학의 온라인 행정시스템 로그인에 별도 절차를 생락할 수 있다. 
 
디지털혁신공유대학은 대학·학과별로 고정된 정원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기술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2021년부터 46개 대학이 참여해 온·오프라인 교육과정을 공유하는 사업이다. 수강생은 재학중인 학교 외에 사업에 참여한 학교의 수업을 자유롭게 들을 수 있다.

그동안 참여 대학 행정시스템을 활용하려면 임시학번을 발급 받는 등의 추가 절차가 필요했으나 SKT 이니셜을 통해 이 문제가 해결됐다. 

SKT는 이니셜을 통해 마이크로디그리 등 이수증을 발급받아 학점 인정을 받을 수 있는 방안도 준비 중이다. 마이크로디그리는 최소 단위 학점 이수로 취득하는 학위다. SKT는 이니셜을 사용한 모바일 학생증 적용을 연내 마무리할 계획이며 디지털혁신공유대학을 시작으로 전국 대학 및 지역거점 대학 등에 블록체인 DID 기반 모바일 학생증을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려 준비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대학 캠퍼스 내의 신분증명과 출입확인 등 오프라인 활동도 디지털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으로 할 수 있도록 서비스 활용 범위를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오세현 SKT 디지털 에셋 CO담당은 “이니셜의 디지털혁신공유대학 모바일 학생증 서비스를 통해 교육 분야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이끌겠다”며 “AI 서비스 컴퍼니로 진화 중인 SKT는 앞으로도 블록체인 기반 DID를 활용한 국민 편의 서비스를 지속 발굴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키워드
#SKT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